같은 이름 다른 인물
최범
평론가
평론가
저서 및 도서
최근 인물 추가정보
-
6시간 전, 노행남 판사님에 대한 19번째 신규 정보 추가
-
5시간 전, 임아랑 검사님에 대한 169번째 신규 정보 추가
-
5시간 전, 노행남 판사님에 대한 18번째 신규 정보 추가
-
4시간 전, 임아랑 검사님에 대한 168번째 신규 정보 추가
-
4시간 전, 노행남 판사님에 대한 17번째 신규 정보 추가
-
3시간 전, 임아랑 검사님에 대한 167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시간 전, 임아랑 검사님에 대한 166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시간 전, 임아랑 검사님에 대한 165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시간 전, 임아랑 검사님에 대한 164번째 신규 정보 추가
-
56분 전, 노행남 판사님에 대한 16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0시간 전, 노행남 판사님에 대한 15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1시간 전, 노행남 판사님에 대한 14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3시간 전, 노행남 판사님에 대한 13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4시간 전, 김주옥 판사님에 대한 10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5시간 전, 임아랑 검사님에 대한 163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6시간 전, 성하운 신문기자님에 대한 3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6시간 전, 노행남 판사님에 대한 12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8시간 전, 김주옥 판사님에 대한 9번째 신규 정보 추가
-
20시간 전, 김주옥 판사님에 대한 8번째 신규 정보 추가
-
21시간 전, 김주옥 판사님에 대한 7번째 신규 정보 추가
최범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최범 관련 영상
최범 관련 이미지
최범 관련 뉴스
[최범의 문화탐색] 미술평론가 김윤수를 기억하며… (2021-12-29)
학위증에 찍힌 도장이 채 마르기도 전에 나를 불러 강단에 세운 분은 바로 미술평론가 고(故) 김윤수 선생이었다. 1990년대 초 당시 영남대에 재직 중이던 선생은 한참 후배인 나를 특강에 초청했다. 그런데 나는 주어진...
《이상한 나라 대한민국》의 저자 최범 | “우리 사회의 문제는 ‘독재... (2024-09-20)
서양의 좌파와는 본질에서 차이가 납니다.” 평론가 최범은 ‘종족주의’의 실례로 문재인 대통령 시절의... 고등학교 중퇴 후 서울로 올라와 고학(苦學)으로 검정고시를 보고, 화실과 미술학원에 다녔다. 그러다 군대에...
[포커스 인터뷰] 디자인에 대한 인문학적 사유, 최범 평론가 (2024-03-06)
있는 미술, 디자인, 공예 등에 관한 평론을 펼쳐냈다. 그의 폭넓은 연구는 시각예술분야를 넘어 사회문화전반과 연결되었고, 이제 그는 문화평론가로 소개되고 있다.최범 평론가그는 2006년 한국 디자인을 보는 눈을...
박영균 민중미술가 '들여다 듣는 언덕' 기획 전시 (2020-12-12)
또 미술평론가 최범, 김종길, 양정애와 신용철 민주공원 학예실장이 함께하는 대담도 영상에서 함께 볼 수 있다. 신용철 민주공원 학예실장은 "1980년대부터 2020년까지 반독재투쟁, 노동운동, 사회현상을 담은 작가...
예술이 숨쉬는 도심으로…공공미술 관심 불 지핀다 (2008-11-11)
'안양 공공예술 프로젝트' 섹션에는 김성수 안양아트시티 기획추진 단장과 박찬용 석수시장 프로젝트 감독이 발제와 토론을 맡고 '아트 인 시티와 공공미술' 파트에서는 최범 디자인 평론가와 하정화 미술평론가가...
동아미술제 전시기획 당선작 ‘집-기억’ 일민미술관서 전시 (2008-09-11)
시상식에는 일민문화재단 윤양중 이사장과 운영위원인 미술평론가 최범 씨, 심사를 맡은 유진상 계원조형예술대 교수와 미술평론가 정용도 씨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당선작 전시회는 10월 12일까지 일민미술관에서...
공공미술 베스트5 (2006-05-15)
최범/디자인평론가·공공미술추진위원회 사무국장 4. 서울역 광장 설치물 그리고 ‘노숙자 수첩’ 소수자 배려한 넉넉한 마음 황사에 신음하느라 봄의 여유를 만끽할 순 없지만, 어느새 민소매가 낯설지 않을 만큼...
[최범의 문화탐색] 민화와 팝 아트 사이 또는 차이 (2020-12-02)
그래서 김홍식의 그림들은 민화와 팝 아트 사이에 있으면서 차이를 드러낸다. 그 사이와 차이가 그의 그림을 민화의 모방이 아닌 현대미술로 만든다. 최범 디자인 평론가
“가장 전망 좋은 곳” 대 “70년대 소재 아쉬워” (2017-05-23)
박용남 도시계획가, 이경훈 건축가, 조경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조경학과 교수, 조홍섭 <한겨레> 환경전문기자, 최범 미술평론가(가나다순)에게 서울7017의 성과와 한계를 들어봤다. ■ “도심에서 가장 전망 좋은 곳”...
[최범의 문화탐색] 디자인 평론가의 영화보기 (2020-06-17)
그림보다 액자가 더 좋다는 어느 미술평론가마냥, 나도 미술관에 가면 작품보다 건물에 더 눈길이 간다. 아니... 야전 잠바, 소달구지… 아마 안 될 거야. 이런 건 수집 안 할 거야. 그럼 영화라도 대신! 최범 디자인 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