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83년생 인스트럭터

시인인 정대현의 대표 이미지

정대현

직업
시인
출생지
부산
조회수
총 5 (오늘 2)

같은 이름 다른 인물

정대현
야구선수
정대현
야구선수
정대현
(전직)대학교수
정대현
(전직)기초의회의원
정대현
조각가,대학교수
정대현
대학교수
정대현
(전직)대학교수

동명이인 7명 더보기

저서 및 도서

질문을 향한 질문
이책사
2025-03-28
로봇종 인간, 자연...
커뮤니케이션북스
2025-02-20
로봇종 인간, 자연...
커뮤니케이션북스
2025-02-20
솔 크립키
커뮤니케이션북스
2024-03-20
솔 크립키(큰글자책...
커뮤니케이션북스
2024-03-20
Eternal Wa...
헥사곤
2023-09-01
저서 더보기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정대현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대현 관련 이미지


정대현 관련 뉴스


[단독] 前B.A.P 힘찬 성추행 재판中 음주운전 시인정대현 11월 입대 극... (2020-10-27)
정대현이 입대 소식을 전한 날, 같은 그룹 출신 힘찬은 음주운전을 시인하고 사죄했다. 힘찬은 공식 입장을 통해 "어제 발생한 음주사고로 사회적 물의를 빚은 점 다시한번 깊이 사과드리며, 부적절하고 부끄러운...

시인 정대현, 그리움으로 지다 (2013-12-07)
정대현 시인이 5일 오후 4시 별세했다. 향년 67세. 고인은 고교 시절, 스스로 목숨을 끊은 누이가 남긴 이상의 시집을 통해 시인 이상을 만났다. 이상의 시를 읽고 또 읽으며 문학의 꿈을 가꿔 왔다. 그러다 본격적으로...

광양(하동) 김정옥 낭송가 전국대회 대상 수상 (2025-05-19)
김정옥 수상자는 정일근 시인의 ‘날아오르는 산’을 깊이 있게 낭송해 큰 감동을 주었다. 그는 2021년부터... 별밤시낭송회 정대현 고문님과 정도경 회장님, 모든 회원님께 감사를 드립니다”고 전했다. 이어 “무엇보다도...

하동 광양 김정옥 낭송가 전국대회 대상 수상 (2025-05-19)
정일근 시인의 '날아오르는 산'을 깊이 있게 낭송하여 큰 감동을 주었다. 시상식에서 상금 150만원과 시낭송가... 별밤시낭송회 정대현 고문님과 정도경 회장님, 모든 회원님께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또한 "무엇보다도...

50대 시인들 마침내 모임 만들다 (2007-02-08)
강경주 강영환 박정애 신진 오정환 정대현 시인이 그들이다. 범위를 넓혀 울산의 김태수,경남의 박구경 시인도 포함돼 모두 8명이다. 그들은 모임을 '얼토'라 이름짓고 제1집 '시간이 시간을 밀고 가는'(도서출판 전망...

[문화산책] 기다리는 마음' 김민부 시인 (2006-10-26)
최근 출간된 '요절 시선'에 그의 시 11편이 실렸고,부산시인협회의 '부산 시인' 가을호(표지 그림)에 정대현 시인이 '오륙도,그리고 김민부'라는 특집 글을 썼다. 정 시인의 글에서 김민부와 절친했던 박태문 시인이 술에...

[작품따라 맛따라] 아내에게 바치는 닭개장국의 헌사 (2008-06-19)
" (정대현의 詩 '斷章·47-아내에게' 전문) 그래서 정대현 시인의 시 '단장(斷章)'은 '시인의 아내'에게 바치는 헌시(獻詩)이다. 아내가 끓여주는 닭개장국의 '정겨운 물'이 되어 '그대 밖으로 넘칠' 정도로, 아내에 대한 사랑과...

시로 풀어낸 예순 인생들 (2010-02-16)
동인 8명 '얼토시' 4집 출간 오전의 전화기 너머, 치킨 가게의 음악이 흐르고 정대현 시인이 말했다. "(우리끼리 이야기이지만)고통스러울 때는 차라리 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고는 해요. 그러나 최형, 손자가 방긋방긋...

2시간 공들여 낸 '맑은' 닭개장… 맛보려면 손님도 정성 들여야… (2012-11-28)
하나는 바깥주인 정대현 씨가 시인이라는 것이다. 항상 수수한 차림인지라 단골 중에서도 아는 이는 몇 안되지만, 그는 부산에서 중견 대접을 받는 현역 시인이다. 다른 하나는, 이게 중요한데, 안주인 이순옥 씨의 별미는...

5월 9일은 '아구데이'…마산과 부산 아구찜 "뭐가 다른교?" (2009-05-07)
마침 1970년대 초반 마산에 자주 가서 '건아구찜'을 즐겨 먹었다는 정대현 시인과 동행을 했다. 정 시인은 "부산의 생아구찜은 살이 퍼석해서 못 먹겠더라, 아구찜은 역시 건아구찜이다, 맛이 얼마나 깊나"라고 했다. 그는...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