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78년생 공무원

대학교수인 김백의 대표 이미지

김백

직업
대학교수
출생지
서울
조회수
총 6 (오늘 1)

같은 이름 다른 인물

김백
방송기자

저서 및 도서

최신 전철전력공학
기다리
2015-11-20
전철전력공학
기다리
2005-01-31
왜란 (김규봉 소설...
케이원미디어
2022-11-10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김백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백 관련 이미지


김백 관련 뉴스


YTN 정치적 중립 지켰다는 김백 사장에 노조 "내란 잔당 셀프 인증" (2025-04-07)
김백 YTN 사장이 YTN이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 사태와 탄핵 국면에서 사건의 본질이 아니라 기계적 중립을... 김창숙 시청자위원(경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 외래교수)은 지난해 12월 회의에서 "본질적인 측면에서...

김백 美 에모리대학 교수, “에볼라 치료제, 에이즈 치료제보다 보편화... (2014-11-02)
한국인 김백(54) 박사다. 이 대학 의과대학원 소아과 교수이자 신약 개발센터 소장인 김 박사는 1일(현지시간) 연합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전 세계적으로 에볼라 확산 상황이 심각한 만큼 신약 개발에 속도를 내고...

경희대 김백 교수 "HIV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논문 네이쳐 게재 (2012-03-21)
= 경희대학교는 21일 약학대학 김백 교수의 논문이 세계적 권위의 과학저널인 네이쳐(Nature)지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논문의 주제는 '면역세포에서 주로 발현되는 항바이러스 단백질인 SAMHD1이 바이러스가...

에스티팜, 올리고 이어 mRNA도 대박 조짐..."12개사와 CDMO 협상 중" (2023-03-20)
이 외에도 김백 버나젠 대표 겸 에모리대학 교수가 감염병 분야 세계적인 권위라는 점도 이번 계약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된다. 김교수는 오랫동안 길리어드 바이러스 감염병 연구 자문을 맡으며 현지 업계에선...

에모리대학서 에볼라 신약개발 이끄는 김백 교수 (2014-11-01)
에볼라와 관련해 미국민의 신망이 높은 에모리대학 병원에서 에볼라 신약 개발을 이끄는 이는 한국인 김백(54) 박사다. 이 대학 의과대학원 소아과 교수이자 신약 개발센터 소장인 김 박사는 1일(현지시간) 연합뉴스와의...

에스티팜, 에이즈치료제 개발 성공 기대감 높여 (2021-07-25)
에스티팜의 김경진 대표와 공동연구를 진행한 미국 에모리대학김백 교수가 교신 저자로 참여했으며 논문을 통해 전임상에서 입증된 STP0404의 작용 기전 및 효과, 안전성 등이 소개됐다. STP0404는 신규 기전의...

에스티팜 에이즈치료제 신약 세계 최초 에이즈 완치 기대 (2021-07-24)
에스티팜의 김경진 대표와 공동연구를 진행하는 미국 에모리대학김백 교수가 논문의 교신 저자로 참여했으며, 논문을 통해 전임상에서 입증된 STP0404의 작용 기전, 강력한 효과와 우수한 안전성이...

에스티팜, 에이즈치료제 전임상 결과 논문 국제 학술지 게재 (2021-07-23)
에스티팜 김경진 대표와 공동연구를 진행하는 미국 에모리대학 김백 교수가 논문의 교신 저자로 참여했으며, 논문을 통해 전임상에서 입증된 STP0404의 작용 기전, 강력한 효과와 우수한 안전성이 소개됐다....

에이즈 완치 시대 열리나?…에스티팜, 에이즈 치료제 국제 학술지 게재 (2021-07-23)
이번 논문은 에스티팜 김경진 대표와 미국 에모리대학 김백 교수가 교신 저자로 참여했으며 논문을 통해 전임상에서 입증한 STP0404의 작용 가전, 강력한 효과와 우수한 안전성이 소개됐다. STP0404는 신규 가전의...

에스티팜 에이즈 신약 'STP0404' 국제 학술지 게재 (2021-07-23)
에스티팜의 김경진 대표와 공동연구를 진행하는 미국 에모리대학김백 교수가 논문의 교신 저자로 참여했으며 논문을 통해 전임상에서 입증된 STP0404의 작용 기전, 강력한 효과와 우수한 안전성이 소개됐다....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