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43년생 식품학자

경제학자,대학교수인 애덤 스미스의 대표 이미지

애덤 스미스

출생지
영국
조회수
총 3 (오늘 1)

경력 사항

글래스고 대학교 총장

저서 및 도서

국부론(국내 유일 ...
현대지성
2024-01-08
도덕감정론(리커버)
한길사
2022-11-30
국부론 (증보판)
박영사
2022-09-01
도덕감정론 (개역판...
비봉출판사
2009-11-11
국부론 상 (경제학...
비봉출판사
2007-12-29
국부론 하 (경제학...
비봉출판사
2007-12-29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애덤 스미스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애덤 스미스 관련 이미지


애덤 스미스 관련 뉴스


공매도로 한탕 노린 하버드 경제학 교수 (2024-09-03)
위해 경제학자가 되려 한다’는 포부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리어슨 교수는 ‘세상에 도움이 되는 것’에 너무 마음을 빼앗기지 말고 학문에 전념하라고 충고합니다. 마빈은 애덤 스미스와 케인스가 모두 막대한...

[이수완의 월드비전] AI 대전환기 … 애덤 스미스가 살아 있다면 (2023-10-22)
산업혁명이라는 역사적 대전환기에 그는 경제학자로서 뿐 아니라 뛰어난 도덕 철학자로 인류 역사에서... 애덤 스미스가 남긴 2권의 책 1751년, 불과 28세의 나이에 모교 글래스고 대학교수로 임명되어 12년 동안...

애덤 스미스 탄생 300주년 | 생애와 업적 | 대한민국은 애덤 스미스가 형... (2023-06-25)
“하게 하라, 지나가게 하라” 1751년에 스미스는 글래스고대학교수가 되었다. 이듬해에는 도덕철학... 대한민국은 애덤 스미스의 수혜자 300년 전에 지구 반대편에서 태어난 경제학자를 지금 우리가 기리는...

애덤 스미스가 살아있다면 어디에 투자? 英, 탄생 300주년 맞아 열풍 (2023-05-31)
18세기의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에게 사람들이 여전히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글래스고대에서 만난 존... 이 학교 정치경제학과 사얀탄 고살 교수(애덤 스미스 석좌교수)는 “스미스는 ‘국부론’에서는 경제적 이익...

‘노벨경제학상’ 로머 교수 “현대 경제엔 혁신 이끄는 강한 정부 필요... (2023-09-23)
폴 로머 보스턴칼리지大 교수 인터뷰 “물가목표치 2% 적절치 않아 미국 내년말 금리 인하 시작할것” ‘시장과 정부’. 자본주의 경제학의 영원한 숙제다.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가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창간기념인터뷰] 민경국 교수 “경제적 약자를 괴롭히는 경제민주화” (2023-09-06)
밀턴 프리드먼 같은 경제학자들에게서 계승된 자유주의의 핵심 논리다. 이 자생적 질서에 의해 시장경제가 작동한다. 시장은 정부보다 똑똑하다. 18세기 말 자유주의의 선구인 영국의 데이비드 흄과 애덤 스미스, 독일의...

[경상국립대] 약학대학-진주시약사회 첫 학술 세미나 개최 外 (2023-05-23)
학술 세미나에서는 △약국약학연구소 대표인 오성곤 약사(성균관대 약학대학 겸임교수)의 ‘올바른... 이몬 버틀러의 다른 책으로는 선구적인 경제학자애덤 스미스, 밀턴 프리드먼, F. A. 하이에크 그리고...

[스페셜 인터뷰] 홍기훈 홍익대 교수① "윤석열 정부, 경제 철학과 비전... (2023-04-15)
애덤 스미스의 고전경제학을 계승한 학자들은 '정부의 역할은 작게, 시장은 자율적으로'라는 원칙을... * 홍기훈 교수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 연구...

추앙받고 오해받는 애덤 스미스, 정비공으로 환생하다 (2023-12-05)
경제학자가 아니더라도 애덤 스미스의 이름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불멸의 저작 <국부론>을... 유명 대학의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논문 집필만 남겨둔 상태입니다. ‘애덤 스미스 석좌교수’라는 거창한...

故 윤기중 연세대 명예교수 | 尹 대통령 자유주의 가치관 형성한 아버지... (2023-09-18)
간단한 논문으로 다른 대학교수들에게 심사받아 박사 학위를 따던 관행이다. 그런 식으로 박사가 된들 무슨... 영국 경제학자인 윌리엄 페티를 노동가치설의 창시자로 꼽는다. 동시에 18세기 애덤 스미스로 대표되는...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