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59년생 미 연방공무원

서예가인 정재흥의 대표 이미지

정재흥

직업
서예가
출생지
대한민국 경기 화성시
조회수
총 17 (오늘 4)

경력 사항

한국서가연합회 공동회장

같은 이름 다른 인물

정재흥
(전직)행정공무원
정재흥
소설가,(전직)출판인
정재흥
(전직)서예가
정재흥
한국화가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정재흥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재흥 관련 이미지


정재흥 관련 뉴스


[인천 문화예술, 사람을 만나다] 7. 서예가 이성촌 (2019-10-29)
당시는 서예의 부흥기였기 때문에 그의 스승 송석 선생과 취정 이준구 선생 등 많은 서예가들이 학원을 운영하고 있었다. 한편 군에 있을 때도 붓을 놓지 않았던 그는 예편 후 인천에 살면서 송석(松石) 정재흥(鄭載興)...

제28회 한-중 서예국제교류전 27일 인천문화예술회관서 개막 (2021-08-08)
검여 유희강을 비롯해 동정 박세림, 우초 장인식, 송석 정재흥을 이은 선대 서예가들로 국전을 화려하게 장식하며 후세대를 이어 서예의 맥을 꾸준히 가꾸어왔다. 인천이 ‘서예의 고장’이라 불리는 이유다....

제28회 한-중 서예국제교류전 27일 개최 (2021-08-05)
인천은 검여 유희강을 비롯해 동정 박세림, 우초 장인식, 송석 정재흥을 이은 선대 서예가들로 국전을 화려하게 장식하며 후세대를 이어 서예의 맥을 꾸준히 가꾸어 온 도시다. 한국서예협회 인천광역시지회는 한국과...

인천 송암미술관 '서예를 감상하다' 특별전 26일 개막 (2023-09-20)
해방 이후 한국 서예 중흥기를 이끈 인천이 배출한 5대 서예가는 검여 유희강, 동정 박세림, 우초 장인식, 송석 정재흥, 무여 신경희 선생이다. 5명 모두 정부가 1949년부터 1981년까지 주관한 국전(대한민국 미술대전)에서...

[인천/경기]서예가 우보 특별전 내일부터 열려 (2008-08-27)
민 씨는 서예계의 거목인 검여 유희강(1911∼1976), 동정 박세림(1925∼1975), 송석 정재흥(1918∼1998) 선생의 대를 잇는 서예가. 1980년대 중반 한문과 한글을 혼용한 작품인 ‘우보체’를 처음 발표해 서단의 주목을...

인천시, 찾아가는 미술관 운영 (2021-12-09)
검여 유희강과 동정 박세림은 인천을 넘어 한국을 대표하는 서예가이며, 우초 장인식·송석 정재흥·무여 신경희 역시 1949년부터 1981년까지 대한민국 정부가 주최한 국전에서 초대작가와 심사위원으로 활동하며 현대...

인천시, 10일부터 ‘찾아가는 미술관’ 운영 (2021-12-09)
또 검여 유희강과 동정 박세림은 인천을 넘어 한국을 대표하는 서예가이며, 우초 장인식·송석 정재흥·무여 신경희 역시 1949~1981년 대한민국 정부가 주최한 국전에서 초대작가와 심사위원으로 활동하며 현대 서예를...

'검여 유희강' 이을 서예가는…인천서예대전·학생서예대전 5월18일까지... (2022-04-18)
/사진제공=한국서예협회 인천시지회 검여 유희강, 동정 박세림, 송석 정재흥, 우초 장인식, 무여 신경희…. 서예의 고장 인천을 빛낸 이들 서예인의 맥을 이을 주인공은 누구일까. 한국서예협회 인천시지회(지회장...

[인천/경기]피플&피플즈/10억원대 작품 기증한 서예가 민승기씨 (2007-11-26)
송석 정재흥(1918∼1998) 선생의 대를 잇고 있는 우보(牛步) 민승기(62·사진) 씨가 최근 소장하고 있던 작품... 그는 이 와중에 30년가량 써 온 자신의 서예 작품 170점과 직계 스승인 정재흥 선생 등에게서 물려받은 18점의...

[기획] 인천 5대 서예 거장, 해방 이후 한국 서예계 이끌어 (2020-06-29)
해방 이후 한국 서예를 대표하는 인천 5대 서예가는 검여 유희강, 동정 박세림, 우초 장인식, 송석 정재흥, 무여 신경희이다. 5명 모두 정부가 1949년부터 1981년까지 주관한 국전에서 초대 작가와 심사위원으로 활동하며...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