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79년생 테니스코치

소설가인 김이은의 대표 이미지

김이은

직업
소설가
출생일
1973.01.25 (52세)
출생지
대한민국 서울
조회수
총 10 (오늘 1)

저서 및 도서

동물농장 (김이은 ...
고즈넉이엔티
2024-11-28
하인학교 2 (김이...
오르트북스
2023-04-24
하인학교 1 (김이...
오르트북스
2023-04-24
산책 (교유서가 소...
교유서가
2022-12-23
베트남의 호 아저씨...
자음과모음
2013-03-10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김이은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이은 관련 이미지


김이은 관련 뉴스


K-소설 저변확대 힘쓰는 김이은 소설가 [경기 작가를 만나다 ①] (2024-03-20)
경기문화재단 작가 프로젝트 선정 문단문학 벽 허물고 새 문법 시도 자본주의 틀 잡고 ‘하인학교’ 탄생 김이은 소설가 경기도내 등록된 예술인은 20일 기준 6천595명, 그중 문학활동을 하는 작가는 878명이다. 미디어가...

소설가 김이은 ‘검은 바다의 노래’ 상재 (2014-02-20)
등단 12년 만에 첫 장편소설 소설가 김이은(41ㆍ사진)이 등단 12년 만에 첫 장편소설 ‘검은 바다의 노래’(문예중앙)를 상재했다. 2002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한 이래 3권의 단편집을 냈지만 긴 호흡으로 독자들과 만나는...

[작가의 말] 『11:59PM 밤의 시간』 김이은 "불면과 악몽이 나의 밤들을... (2016-09-22)
<출처=인터넷 교보문고> # 소설가 김이은은 1973년 서울 왕십리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 오학년 때 선생님에게 뺨을 맞았는데 여태껏 까닭을 알지 못한다고 한다. 이후 납득하기 어려운 일을 마주칠 때마다 그때를 떠올리곤...

소설집 '코끼리가 떴다' 낸 김이은 (2009-06-03)
(서울=연합뉴스) 두 번째 소설집 '코끼리가 떴다'를 출간한 소설가 김이은 씨. 2009.6.3

[인터뷰 전문] 이평재 "소설가들이 꾸민 문학콘서트, 입장료 대신 헌책... (2014-11-01)
그리고 또 올 해는 소설가 윤후명 선생님의 작품 ‘눈 속의 시인 학교’와 최옥정의 작품 ‘늙은 여자를 만났다’를 역시 이윤택 감독님과 연희단거리패가 상황극으로, 또 소설가 김이은의 ‘청혼의 순간’을 첼리스트...

"첫 책 낸 기쁨? 왜 별 감흥이 없지" (2005-09-03)
[ ▲ 소설가 김이은. ⓒ2005 서동신 소설가 김이은(32)의 첫 작품집 <마다가스카르 자살예방센터>(현대문학)는 묘한 매력으로 번득인다. 극단 혹은, 최악의 상황에 처해있는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있음에도...

등단 10년차 작가, 어떻게 살고 있나 (2012-02-24)
소설가 김이은은 10년차라는 숫자의 무게를 전했다. 소설 2권을 포함해 5권이나 책을 냈지만 언제나 흐릿하고 안갯속을 걷는 느낌이다. 한살 한살 나이를 먹지만 여전히 변두리에 있다는 자괴감 때문에 내부의 늪이 깊고...

문학의 여름, 천운영과 김이은의 다른 시선 (2013-06-27)
섬뜩한 후각과 미각으로 육박해오는 소설가 천운영의 네 번째 소설집 ‘엄마도 아시다시피’(문학과지성사)와 김이은의 세 번째 소설집 ‘어쩔까나’(자음과모음)는 이왕이면 함께 읽는 게 좋다. 벌어진 상처 사이로...

[신간] '소설문학 창간호' '독도고래 외뿔이' 外 (2013-03-07)
추천자문위원으로는 윤후명, 문형렬, 이병천, 임철우, 이승우 등이 활동하기로 했다 창간호에는 20년만에 신작을 발표한 소설가 박인홍의 단편 ‘흰 색에 가까운 옅은 회색’이 실렸으며, 소설가 김이은이 특집 대담을...

[주목, 이사람]소설가 김이은 "센 척 하느라 힘든 현대인 보듬고 싶다" (2007-11-21)
소설가 김이은(34)씨는 ‘오래된 신인’이다. 2002년 등단했고, 2005년에 첫 소설집 ‘마다가스카르 자살예방센터’(현대문학)를 펴냈다. 당시 책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선정한 우수문학도서로 선정됐다. 5년 동안...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