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이름 다른 인물
최명익
(전직)소설가
(전직)소설가
저서 및 도서
최근 인물 추가정보
-
12시간 전, 위지웅 영화배우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일 전, 정정덕 (전직)대학교수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일 전, 호교순 대학교수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2일 전, 진현종 변호사님에 대한 17번째 신규 정보 추가
-
2일 전, 김충조 (전직)국회의원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2일 전, 명현만 유튜버, 이종격투기선수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3일 전, 손기웅 연구인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3일 전, 윤석열 (전직) 검사, (전직) 변호사, (전직) 대통령님에 대한 7번째 신규 정보 추가
-
3일 전, 윤석열 (전직) 검사, (전직) 변호사, (전직) 대통령님에 대한 6번째 신규 정보 추가
-
3일 전, 윤석열 (전직) 검사, (전직) 변호사, (전직) 대통령님에 대한 5번째 신규 정보 추가
-
3일 전, 윤석열 (전직) 검사, (전직) 변호사, (전직) 대통령님에 대한 4번째 신규 정보 추가
-
4일 전, 이로운 영화배우, 탤런트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4일 전, 홍진섭 축구선수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5일 전, 방탄소년단 가수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5일 전, 이승훈 성우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8일 전, 임아랑 검사님에 대한 180번째 신규 정보 추가
-
9일 전, 한연규 검사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9일 전, 이무웅 성악가,(전직)대학교수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0일 전, 김주옥 판사님에 대한 13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1일 전, 프레디 머큐리 가수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최명익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최명익 관련 이미지
최명익 관련 뉴스
“문예동인 ‘단층파’는 유항림네 헌책방에서 탄생했다” (2017-04-26)
최명익은 소설가 이태준의 친구였다. 서울의 이태준이 평양에 올 때면 형·최명익과 어울려 삼총사처럼 절친했다. 형은 아버지와 나를 ‘생활자’라고 부르고, 자신은 ‘방관자’라고 불렀다. 일종의 딜레탕트라고 볼 수...
[문학사의 풍경-백석의 만주 유랑과 해방정국] (4) 김일성과의 조우와 ... (2012-10-11)
“문학계의 대표로 소개된 소설가 최명익과 시인 백석 그리고 영화계를 대표하여서 필자(오영진) 자신이 있었다. 공산당에서는 한 사람도 참석하지 않았지만 이만하면 시(市)의 기성층을 총망라하였다고 볼 수 있는...
당대의 미남 시인을 불귀의 땅으로 내친 ‘붉은 편지’ (2024-05-10)
김일성이 조모(祖母)와 함께 참석한 이 모임에 백석은 소설가 최명익, 극작가 오영진과 함께 문학계 대표로 초대되었다. 말석에 앉은 문학인들에게 발언권이 주어졌을 때, 백석은 ‘장군 돌아오시다’라는 즉흥시를...
[뉴스파노라마] 조철현 감독, "신미대사, 불교계가 특별히 기릴 대단한... (2020-10-09)
1956년인가 최명익이라는 카프 계열의 소설가가 쓴 서산대사라는 작품이 굉장히 뛰어납니다. 50년대에 썼는데 심리 묘사나 이런 것들이 아주 모던하고. 그래서 그것을 보통벌이라는 제목으로 각색해서 만들려고 준비를...
1903년생 文人 기리는 문학제 (2003-04-16)
시 인 권환 김기진 김영랑 이은상, 소설가 김진섭 송영 윤기정 최명익, 국문학자 양주동, 동요작가 윤극영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번 문학제는 '논쟁, 이야기 그리고 노래'라는 주제로 이들의 문학 세계를 조명한다....
1903년 문학인들 10명 탄생 100주년 기념문학제 (2003-04-15)
대산문화재단(이사장 신창재)과 민족문학작가회의(이사장 염무웅)는 ‘논쟁, 이야기 그리고 노래’라는 주제로 시인 권환 김기진 김영랑 이은상, 소설가 김진섭 송영 윤기정 최명익, 국문학자 양주동, 동요작가 윤극영...
<탄생 100주년 문인 기념문학제> (2003-04-15)
올해 세번째 맞는 이 문학제는 '논쟁, 이야기 그리고 노래'라는 주제로 시인 권환 김기진 김영랑 이은상, 소설가 김진섭 송 영 윤기정 최명익, 국문학자 양주동, 동요작가 윤극영 등 1903년생 작가들의 문학세계를...
“그림은 장식 아니라 시대정신…그래서 ‘해방 현장’ 지켰다” (2017-01-18)
소설가 최명익을 회장으로 추대했고, 조직은 5개의 분야로 나누었다. 문학 분야는 유항림 부장을 비롯하여 오영진·황순원·한태천 등, 미술은 문학수 부장 이외 정관철 등, 음악은 김동진 부장, 연극은 주영섭 부장...
[내가 읽은 글] 이태준 수필집 ‘무서록’중에서 (2001-04-10)
이 글은 상허가 문우인 김유정과 이상의 추도회를 마치고 난 뒤 감회를 적은 글이다.상허는 김유정과 이상만이 아니라 신인 소설가인 최명익,김동리,이선희,정비석의 작품을 들면서 그들의 작품을 ‘찬연’하다고 평한 뒤...
[모던 경성]이효석이 사랑한 ‘동양의 파리’, 하얼빈 (2022-06-03)
소설가 최명익이 1939년 발표한 ‘심문’도 하얼빈을 배경으로 한 단편소설이다. 음악평론가 김관은 하얼빈을 여섯번이나 다녀왔다. 하얼빈은 이렇듯 조선의 지식인, 작가,예술가들이 가고 싶어하는 이국적 취향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