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81년생 여자 영화배우

의사인 로베르트 코흐의 대표 이미지

로베르트 코흐

직업
의사
출생지
독일
조회수
총 7 (오늘 1)

경력 사항

베를린대학 위생학 교수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로베르트 코흐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로베르트 코흐 관련 이미지


로베르트 코흐 관련 뉴스


[오늘의 역사]3월 24일 하인리히 헤르만 로베르트 코흐가 결핵균을 발견... (2020-03-23)
하인리히 헤르만 로베르트 코흐는 독일의 의사, 미생물학자다. 하노버왕국 클라우스탈에서 광산 기사의 아들로 태어났는데 공부에 특출난 재능을 보여 괴팅겐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의대생 시절 루이...

[이 아침의 인물] 결핵균 발견한 로베르트 코흐 (2018-03-23)
경제와 문화의 가교 한경 1882년 3월24일 독일 의사이자 미생물학자인 로베르트 코흐가 베를린에서 열린 병리학 학술대회에서 결핵균 발견을 발표했다. 당시 유럽에선 결핵이 창궐해 7명 중 1명이 결핵으로 사망할...

獨시골 무명 의사의 증명 “질병의 원인은 세균이다” (2024-02-23)
세균이 질병의 원인이라는 최초의 결정적 증거는 1876년 독일의 시골 병원에서 일하던 한 무명 의사에게서 나왔다. 로베르트 코흐(1843~1910)는 소와 쥐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탄저병의 원인이 세균이라는 것을 명백하게...

"나는 정치판의 코흐"라던 히틀러, 아프리카로 유대인 400만 보내려 했다... (2024-10-12)
히틀러, "나는 정치판의 로베르트 코흐" '광기의 네타냐후'의 80년 전 버전이 '광기의 히틀러'가 벌인 유대인... 과격화'의 산물이라고 해석하여 히틀러의 비중을 평가 절하했다](이진모, '민주주의의 몰락과 독재국가의...

[고병수 의사의 ‘영화 속 의학의 세계’ | ③] 영화로 보는 감염병의 ... (2022-04-22)
세균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독일의 의사 로베르트 코흐(Robert Koch, 1843~1910)는 이 당시 콜레라 유행지역인 인도에서 이집트를 따라 조사를 하게 되었다. 원인이 콜레라균임을 증명(1884년)하고, 염색법과 현미경을 통해...

자존심 강한 두 천재의 대결…감염병의 시대, 인류를 지키다[전문가의 ... (2022-09-29)
그러나 주인공은 파스퇴르가 아닌 독일 의사 로베르트 코흐(Robert Koch·1843~1910)였다. 당시로서는 무명에 가까웠던 코흐가 특정 미생물이 감염병의 원인이라는 ‘미생물 원인설(germ theory)’을 입증하며 혜성처럼...

“2주 이상 기침하면 결핵 검진하세요” (2025-03-27)
1882년 3월24일 독일의 의사 로베르트 코흐가 결핵균을 발견한 것을 기념해 100주년인 1982년 세계 결핵의 날이 제정됐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결핵 예방과 관리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2011년 ‘결핵 예방의 날’을...

한국건강관리협회경북지부, 세계 결핵의 날 맞이 캠페인 실시 (2025-03-24)
세계 결핵의 날은 매년 24일로 1882년 3월 24일 독일인 의사이자 세균학자인 로베르트 코흐가 결핵균이라는 미생물이 결핵의 원인이라는 것을 밝인 것을 기념하기 위해 100년이 지난 1982년에 국제 항결핵 및 폐질환...

인류 구한 집요한 영웅들 ‘미생물 사냥꾼’ (2017-03-31)
●‘오만한 흥행사’ 파스퇴르·‘숭배 거부’ 코흐 대조 특히 프랑스 화학자 파스퇴르와 독일의 시골 의사 로베르트 코흐는 극적인 대조를 이룬다. 파스퇴르가 ‘현대의 기적을 행한 사람’으로 군중들에게 떠받들여진...

숙주 없어도 사는 생명력... '세균'이 뒤흔든 인간의 역사 (2024-02-28)
'세균학의 아버지'로 불리우는 독일의 의사 겸 생물학자 로베르트 코흐(1843-1910)는 최초로 감염병의 원인이 세균이라는 사실을 밝혀낸 인물이다. 코흐는 1876년 탄저병의 원인이 된 탄저균을 비롯하여, 몇 년 뒤에는...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