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강원 춘천 출생 대학교수

소설가인 엄광용의 대표 이미지

엄광용

직업
소설가
출생일
1954.12.28 (70세)
출생지
대한민국 경기 여주군
조회수
총 1 (오늘 1)

경력 사항

잡지 여원, 가정조선 기자

같은 이름 다른 인물

엄광용
(전직)은행인

저서 및 도서

이성계 (조선왕조를...
서연비람
2023-12-15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엄광용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엄광용 관련 영상


엄광용 관련 이미지


엄광용 관련 뉴스


[인터뷰] 대하소설 '광개토태왕 담덕' 펴낸 엄광용..."경제 영토 확장 나... (2025-03-07)
소설가 엄광용이 '광개토태왕 담덕'(새움)을 마무리 했다. 200자 원고지로 1만 1천매 안팎의 원고를 썼다. 2022년 7월 '담덕' 1권과 2권을 출간하고 지난 2월말 10권을 내놨다. 편집과 출판에 걸린 시간만 꼬박 3년여가 걸린...

"세계적인 학자요, 사상가 하나를 잃었다" (2025-02-26)
고인으로부터 문명교류학을 배워 온 엄광용 소설가가 추도사를 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고인으로부터 문명교류학을 배워 온 엄광용 소설가는 『실크로드학 사전』(2013) 집필 당시를 회고하며...

엄광용 소설가 "원고지가 허리까지 닿도록 써보라" (2022-12-28)
그걸 담고 싶었어요." 여주양평 문화예술인들의 삶 여덟 번째 주인공 엄광용 소설가(68·남)의 말이다. 20여년 준비해 온 역사소설 '광개토태왕 담덕'(아래 담덕) 4권(고구려 천하관, 지난 20일 발행)을 출판한 뒤 털어놓은...

[볼만한 책] 광개토태왕 담덕 (2025-03-28)
기자 출신의 소설가 엄광용이 25년여에 걸쳐 쓴 대하소설이다. 총 10권. 그동안에 작가는 중국 대륙을 수차례 답사하며 자료를 수집하고, 사학과 대학원에 들어가 한국 고대사를 공부했다. 이 책을 읽다보면 거꾸로 현실의...

광개토대왕의 여정에서 ‘나아갈 길’을 찾다 (2025-03-21)
광활하게 영토를 확장한 광개토태왕 이야기로 미래에 비전과 대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습니다.” 지난달 열 권짜리 대하소설 ‘광개토태왕 담덕’(새움)을 완간한 소설가 엄광용(71)이 말했다. 2022년 7월 1~2권을...

[신간] '파워풀 이재명' 펴낸 작가 엄광용 (2021-07-20)
엄광용은 소설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는 작가로 정평이 나 있다. 그러니까 '파워풀 이재명'은 소설가의 눈으로 인간 이재명을 해부한 것이다. 작가의 눈에 비친 인간 이재명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저자는 이 책에서 질문을...

[문학신간]엄광용 장편소설 ‘지금도…’ 外 (2005-05-09)
엄광용 장편소설 ‘지금도 왕비는…’- 엄광용(51)의 장편소설 ‘지금도 왕비는 죽어가고 있다’(미래사)... 정교수는 안도현, 박남준, 이병천 등 여러 시인과 소설가들의 스승으로도 유명하다. -강기원 시집 ‘고양이...

[느리게 읽기] 김수환 추기경이 세상에 띄운 사랑의 메시지들 (2014-03-01)
엮은이는 소설가이자 동화작가인 엄광용 씨다. 그는 “지금 온 세상을 둘러싼 끊임없는 갈등, 반목, 슬픔, 아픔은 모두 사랑의 부재에서 오는 것”이라며 “고 김수환 추기경이 생전에 우리에게 남긴 사랑의 메시지가...

여주시, 제11회 묵사 류주현 문학상 시상식 개최 (2015-12-11)
이번 시상식에서는 문학상 수상작으로 소설가 김녕희 씨의 '시간의 비밀'과 소설가 엄광용 씨의 '사라진 금오신화'가 선정돼 각 5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또한 향토상 수상작으로는 김지례 씨의 '꽃'과 김금자 씨의...

실크로드학 권위자 정수일 별세, 향년 91세 (2025-02-25)
정 소장의 제자인 소설가 엄광용은 "이번 주말에도 후학들을 상대로 한 강의가 예정돼 있었다"면서 "너무나 갑작스럽게 세상과 작별하셔서 혼란스럽다"고 말했다. 빈소는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22호실...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