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89년생 남자 영화감독

물리학자인 클라우스 클리칭의 대표 이미지

클라우스 클리칭

직업
물리학자
출생일
1943.06.28 (81세)
출생지
폴란드
조회수
총 3 (오늘 1)

경력 사항

프랑스 그레노블연구소 연구원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클라우스 클리칭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클라우스 클리칭 관련 이미지


클라우스 클리칭 관련 뉴스


클리칭 소장 “세상이 놀랄 성과는 기초과학서 나와… 이공계 위기? 과... (2013-09-05)
2, 3년 만에 성과를 바라지 말고 10년 이상 꾸준히 지원해야 합니다. ” 세계적인 물리학자클라우스클리칭 독일 막스플랑크 고체물리연구소장은 한국 정부에 대해 “참을성을 길러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내...

[노벨상으로 보는 물리학] 거시 세계의 양자역학 1985년 : 양자 홀 효과 (2021-03-05)
사진=노벨 재단 제공 / 클라우스클리칭 하지만 1978년 물리학자 클라우스클리칭은 거시계에서 양자역학의 효과가 나타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클리칭은 홀 전도율이 양자화된다는 '양자 홀 효과'를 발견하여 이를...

노벨 물리학상이 발표됐는데 아무도 연구의 내용이 뭔지 잘 모른다 (2016-10-05)
독일 물리학자 클라우스클리칭은 '양자 홀 효과'(quantum Hall effect)라는 현상을 실험적으로 발견했다. 일반적인 '홀 효과'에서는 전류와 자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장이 생긴다. 전류와 자장과 전장이 무슨 의미인지...

"노벨상 위해선 한 분야에 10년 이상 꾸준히 투자하세요" (2013-09-06)
2, 3년 만에 성과를 바라지 말고, 10년 이상 꾸준히 지원해야 한다. ” 세계적인 물리학자클라우스클리칭 독일 막스플랑크 고체물리연구소장은 과학 예산을 지원하는 한국 정부에 대해 “참을성을 길러야 한다”고...

노벨 물리학상 ‘위상수학 적용한 물질현상 규명’…첨단 신소재 연구에... (2016-10-05)
이 현상은 1980년에 실험으로 발견한 독일 물리학자 클라우스클리칭은 1985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홀데인은 ‘양자 스핀 체인’(quantum spin chain)이라고 불리는 양자역학적 시스템의 성질을 이론적으로...

올 노벨물리학상은 '물질현상 규명에 위상수학 개념 적용' (2016-10-04)
이 현상은 1980년에 실험으로 발견한 독일 물리학자 클라우스클리칭은 1985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홀데인은 '양자 스핀 체인'(quantum spin chain)이라고 불리는 양자역학적 시스템의 성질을 이론적으로...

성균관대, 노벨물리학상 클리칭 교수 초청 특강 (2012-06-26)
클라우스 클리칭 교수.ⓒ News1 성균관대학교는 7월2일 오전 11시 경기 수원시 자연과학캠퍼스... 독일의 응용물리학자이자 고체물리학자클리칭 교수는 특정조건에서 홀 저항이 물질에 무관한 일정한 값을 가지게...

[과학연구의 최전선] 응집물리학자 한정훈 성균관대 교수 (2019-10-31)
응집물리학자 취재는 두 번째다. 지난 10월 21일 수원에 있는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에서 만난 한정훈... 일하던 클라우스클리칭이 발견했다. 한정훈 교수는 양자홀 효과를 이렇게 설명했다. “전기 저항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2명 부산서 강연 (2012-07-05)
독일의 클라우스클리칭(Klaus von Klitzing) 박사가 재미있는 물리학을 강연한다. 알베르 페르 교수는 거대자기저항(Giant Magneto-resistance)을 발견한 공로로 200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프랑스의 물리학자...

"예산도 관점도 단기" 노벨상 수상자, 韓기초과학 '뼈 때렸다' (2022-11-03)
클라우스클리칭 전 독일 막스플랑크 고체물리연구소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기초과학에... 그는 '정수 양자 홀 효과' 발견으로 198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물리학자다. 정수 양자 홀 효과란 홀...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