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의대 스탠리 프루시너 교수는 1997년 단독으로 노벨생리의학상을... 졸업 후 20세기 최고의 화학자 라이너스 폴링의 실험실을 포함해 여러 곳을 방랑하던 그는 1954년 호주로 날아가...
같은 직업 다른 인물
로버트 그럽스
화학자
화학자
아돌프 폰 바이어
화학자
화학자
로저 콘버그
화학자,대학교수
화학자,대학교수
어윈 로즈
대학교수,화학자
대학교수,화학자
리처드 슈록
화학자
화학자
프레데릭 생어
화학자
화학자
라이너스 폴링
화학자
화학자
야코부스 반트 호프
화학자
화학자
최근 인물 Q&A 및 댓글
-
7시간 전, 김영호 영화배우, 탤런트님에 대한 1번째 질문 보기
-
1일 전, 정흥섭 신경외과의사,대학교수님에 대한 1번째 질문 보기
-
3일 전, 주대경 변호사,(전직)검사님에 대한 1번째 질문 보기
-
3일 전, 나카무라 치세 영화배우님에 대한 1번째 질문 보기
-
3일 전, 나카무라 치세 영화배우님에 대한 2번째 질문 보기
-
3일 전, 나카무라 치세 영화배우님에 대한 3번째 질문 보기
-
3일 전, 나카무라 치세 영화배우님에 대한 4번째 질문 보기
-
4일 전, 김왕식 문학평론가, 기자님에 대한 1번째 질문 보기
-
5일 전, 이영갑 변호사,(전직)판사님에 대한 1번째 질문 보기
-
5일 전, 이태인 영화배우님에 대한 1번째 질문 보기
-
6일 전, 김규남 광고프로듀서님에 대한 1번째 질문 보기
-
6일 전, 주대경 변호사,(전직)검사님에 대한 2번째 질문 보기
-
6일 전, 호승진 검사님에 대한 1번째 질문 보기
-
7일 전, 주대경 변호사,(전직)검사님에 대한 3번째 질문 보기
-
7일 전, 김형돈 보석 감정사님에 대한 1번째 질문 보기
-
8일 전, 방힘찬 야구선수님에 대한 1번째 질문 보기
-
8일 전, 정명필 공연예술가님에 대한 1번째 질문 보기
-
9일 전, 이정생 (전직)기초의회의원님에 대한 1번째 질문 보기
-
12일 전, 김하균 대학교수님에 대한 1번째 질문 보기
-
13일 전, 나카무라 치세 영화배우님에 대한 5번째 질문 보기
🤔 스탠리 프루시너님과 관련된 이야기를 함께 나눠요
궁금한 점이나 알고 계신 정보, 생각을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스탠리 프루시너 관련 이미지
📷
로딩 중...

📷
로딩 중...

📷
로딩 중...

📷
로딩 중...

📷
로딩 중...
![[그래픽] 노벨 화학상 역대 수상자](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b150&src=http://imgnews.naver.net/image/001/2019/10/09/GYH2019100900060004400_P2_20191009191301501.jpg)
📷
로딩 중...
![[도쿄 통신] 다시 주목받는 일본의 ‘샐러리맨 노벨상’](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b150&src=http://imgnews.naver.net/image/053/2019/10/21/0000026622_002_20191024105937249.jpg)
📷
로딩 중...

📷
로딩 중...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b150&src=http://imgnews.naver.net/image/584/2019/01/08/0000002833_004_20190108091738559.jpg)
📷
로딩 중...
![[사이언스] 뒤늦게 밝혀진 스탠리 밀러의 실수, 그리고 놀라운 반전](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b150&src=http://imgnews.naver.net/image/5480/2021/11/22/0000007720_001_20211122124402793.jpg)
스탠리 프루시너 관련 뉴스
미국의 과학자 스탠리 프루시너는 이들 질병의 감염인자가 바이러스나 세균이 아닌 무생물인 단백질이란... 19세기 독일 화학자 폰 리비히는 남미의 거대한 가죽 공장들이 버리는 엄청난 양의 소 시체로부터 고단백...
미국의 과학자 스탠리 프루시너는 이들 질병의 감염인자가 바이러스나 세균이 아닌 무생물인 단백질이란... 19세기 독일 화학자 폰 리비히는 남미의 거대한 가죽 공장들이 버리는 엄청난 양의 소 시체로부터 고단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