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86년생 농구선수

영화감독인 마에다 겐지의 대표 이미지

마에다 겐지 Maeda Kenji, 前田憲二

직업
영화감독
출생일
1935.12.05 (89세)
출생지
일본 오사카
성별
조회수
총 3 (오늘 1)

학력 및 수상

2001

경력 사항

하늘하우스 대표
인물정보 수정요청
업데이트 일시: 2023-12-15

출연 영화

출연 영화 더보기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마에다 겐지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마에다 겐지 관련 이미지


마에다 겐지 관련 뉴스


마에다 겐지 감독 "조선 식민지화 출발점, 동학농민혁명 영화 만든다" (2013-07-23)
마에다 겐지 감독 일본인 마에다 겐지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동학농민혁명> 제작발표회가 23일 서울 종로구 원서동 원불교 인덕문화원에서 열렸다. 마에다 겐지 감독은 동학농민운동을 일본인 중심으로 보는 것을...

마에다 겐지 감독 "조선 식민지화 출발점, 동학농민혁명 영화 만든다" (2013-07-23)
마에다 겐지 감독은 “내 영화 인생의 마지막을 걸 작품이라는 생각으로 이번 다큐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 〈경향신문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주일한국문화원, 일본감독의 한국소재 영화 상영회 (2013-05-30)
이 행사에서는 배수빈이 주연을 맡았던 다카하시 반메이 감독의 '길-백자의 사랑'(2012년)을 비롯해 일본 다큐멘터리 영화의 대가인 마에다 겐지 감독의 '신들의 이력서'(1988년)와 '토속의 난성(土俗의 亂聲)'(1991년)...

“조선의 하늘·땅·바람 속 사람 목소리가 만든 영화 (2016-09-26)
[한겨레] [짬] 동학농민혁명 다큐영화 만든 마에다 겐지 감독 마에다 겐지(81) 감독. 강성만 기자 “한국인도 감히 하지 못한 일을 일본인이 어려움을 무릅쓰고 해냈으니 무척 기쁩니다. 박수를 보냅시다. ” 지난 24일...

분통 터질 역사 소재, 여기 또 있소이다 (2023-12-15)
가장 최근 영화로는 일본 마에다 겐지 감독의 다큐영화인 <동학농민혁명 고추와 라이플 총>(2016)이 있고, 극 영화로는 <동학난>(1962), <개벽>(1991)이 있다. 드라마는 <새야 새야 파랑새야>(1994), <녹두꽃>(2019)뿐이다. 사실...

"조선 식민지화 시작 '동학' 바로 알리겠다" (2014-01-23)
일본 영화감독 마에다 겐지(81)가 23일 창원 동읍에 왔다. 자신이 기획한 다큐멘터리 영화 <동학농민혁명>을 촬영하기 위해서다. 마에다 감독은 동학 창시자인 수운 최제우(1824∼1864)가 추었던 검무(劍舞)를 카메라에 담기...

[(44) 예술작품 속 동학농민혁명] "혁명정신 대중화 꾀할 기념비적 대형... (2014-12-01)
다만, 일본인 감독 마에다 겐지가 다큐멘터리 영화계획을 발표하고, 영화제작에 들어가 주목을 받았다. 마에다 감독은 "다큐멘터리 영화를 통해 동북아뿐 아니라 온 세계의 사람들에게 동학농민혁명의 깊은 의미와...

[120주년 맞는 동학농민혁명] 국민혁명 이끈 녹두장군, 싸이만큼 알려져... (2014-02-07)
마에다 겐지(81) 감독은 다큐멘터리 영화 ‘동학농민혁명’을 제작하기 위해 지난달 경남 창원에 와서 검무(劍舞)를 카메라에 담았다. 마에다 감독은 한 지방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은 동학농민운동을 계기로...

감독, 신상옥 유지따라 도쿄서 '동학농민혁명' 무대 올려 (2016-10-07)
마에다 겐지 감독 [연합뉴스 자료사진] '다큐멘터리 영화 대가' 마에다 겐지 감독 일본인 영화감독이 신상옥 감독(1926~2006)의 유지를 받들어 동학농민혁명을 소재로 작품을 일본에서 곧 선보인다. 일본 다큐멘터리...

영화로 보면 분통 터질 역사…‘경복궁 점령’도 있소이다 (2023-12-16)
가장 최근 영화로는 일본의 마에다 겐지 감독의 다큐영화인 <동학농민혁명 고추와 라이플 총>(2016)이 있고, 극 영화로는 <동학난>(1962), <개벽>(1991)이 있다. 드라마는 <새야 새야 파랑새야>(1994), <녹두꽃>(2019)뿐이다. 사실...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