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61년생 서울특별시장

작가인 루이 아라공의 대표 이미지

루이 아라공 Louis Aragon

직업
작가
출생일
1897.10.03
출생지
프랑스
사망일
1982.12.24 (향년 85세)
성별
조회수
총 8 (오늘 2)
인물정보 수정요청
업데이트 일시: 2023-12-15

출연 영화

엘자 라 로즈
주연
본인 역

함께 출연한 다른 배우


저서 및 도서

오렐리앵 1
창비
2023-06-27
오렐리앵 2
창비
2023-06-27
파리의 농부
이모션북스
2018-11-23
Le Fou d’E...
lePetitLitteraire.fr
2018-12-14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루이 아라공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루이 아라공 관련 영상


루이 아라공 관련 이미지


루이 아라공 관련 뉴스


[이 아침의 소설가] 의식주만큼 중요한 것이 소설이란걸 증명한 작가, 밀... (2025-01-10)
시인 루이 아라공은 이같이 격찬했다. 체코에서 출간된 이 책이 프랑스에서 번역된 직후 쿤데라는 명작가 반열에 올랐다. 소설엔 사회주의를 풍자하는 내용이 담겼는데, 소비에트연방이 고국 체코를 점령한 후 쿤데라는...

특별기획-오영수문학관의 미래를 그린다다양한 장르 아우르는 '문화예술... (2014-10-19)
기본은 유물 전시다른 예술 장르에 공간 할애해 전시장·아틀리에 등서 전시회·연주회·낭독회 열려 루이 아라공의 집에는 작가가 사용하던 책이나 집기, 사진 등이 그대로 놓여져 있다. 잘 가꿔진 정원에선 다양한...

그 선생님 앞에서만 손가락 떠는 학생, 뜻밖의 이유 (2024-08-30)
그러고 보면 일찍이 프랑스 작가 루이 아라공이 교육과 관해 멋진 글을 남겼던 것도 같다. '가르친다는 건 다만 희망을 말하는 것'이라고 말이다. 지적이 아닌 희망의 제시, 그보다 나은 교육을 나는 정말이지 전혀 알지...

파리의 카페 옆에는 서점이 있다 (2023-10-05)
1930년대 유럽에 파시즘이 드리우자 앙드레 말로, 루이 아라공 같은 작가들이 반파시스트 문학가 회의를 소집했는데 그 장소가 카페 되마고였다. 되마고와 이웃한 카페 드플로르는 1885년 시작했다. 드플로르의 단골...

[아침신문 솎아보기] 조선 "KBS 공익프로 축소 아닌 억대 연봉 구조조정... (2023-07-12)
1967년 첫 소설 '농담' 등을 통해 이름을 알렸는데 농담 프랑스어판 서문에서 프랑스 작가 루이 아라공은 "소설이 빵과 마찬가지로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것임을 증명한 작가"라고 쿤데라를 평가했다. 1963년...

역사의 무게에 짓눌리지 않는 개인의 자유…쿤데라의 문학세계 (2023-07-12)
첫 장편 '농담'의 불역판 서문에서 프랑스의 초현실주의 작가 루이 아라공은 쿤데라를 "금세기 위대한 작가 중 한 사람으로 소설이 빵과 마찬가지로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것임을 증명해주는 소설가"라고...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밀란 쿤데라 별세 (2023-07-12)
증명해주는 작가." 시인 루이 아라공의 찬사처럼 20세기 최고의 소설가로 꼽혀왔던 거장이 세상을 떠났다. 12일(현지시간) 체코 공영방송은 이날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작가이자 '영원한 노벨문학상 후보'로...

[정리뉴스]국립한국문학관을 위한 제언…전국 문학관 현황 지도 (2017-11-21)
시인 루이 아라공이 1982년 작가의 집을 국가에 기증했고, 1995년 이를 문학관으로 개방했다. 지역관광거점, 보조교육기관, 근접문화공간, 연구지원공간, 문학박물관의 역할을 하고 있다. 독일실러국립박물관...

남프랑스라는 즐거움 (2018-08-06)
20세기를 대표하는 화가 앙리 마티스를 두고 프랑스 출신 작가 루이 아라공은 이렇게 말했다. “마티스의 창은 니스를 향해 열려 있다. 경이롭게 열린 창 너머에는 안경 너머 마티스의 눈동자처럼 파란 하늘이 있다....

[집중기획-국립문학관을 위한 제언]일본 근대문학 연구센터로 정착…독... (2017-11-20)
시인 루이 아라공이 1982년 작가의 집을 국가에 기증했고, 1995년 이를 문학관으로 개방했다. 지역관광거점, 보조교육기관, 근접문화공간, 연구지원공간, 문학박물관의 역할을 하고 있다. <김향미·> ▶ 경향신문 SNS...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