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2001년생 연예인

미술사가,대학교수인 김정희의 대표 이미지

김정희

출생지
충남 청양
조회수
총 10 (오늘 2)

같은 이름 다른 인물

김정희
(전직)기초의회의원
김정희
대학교수
김정희
치과의사,대학교수
김정희
모델
김정희
(전직)대학교수
김정희
한국화가
김정희
(전직)출판인
김정희
대학교수,디자이너

동명이인 40명 더보기

저서 및 도서

뇌박힘 화재안전기술...
모아교육그룹
2025-02-12
뇌박힘 소방관련법령...
모아교육그룹
2025-02-12
다음 계절의 처음 ...
시인동네
2025-02-12
김정희 (알기 쉽게...
학고재
2006-10-05
뇌박힘 소방시설관리...
모아교육그룹
2025-01-10
2025 해커스소방...
해커스소방
2025-01-08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김정희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정희 관련 이미지


김정희 관련 뉴스


"참된 학예주의자 김정희"…미술평론가 최열의 추사 평전 (2021-08-12)
경성제국대학 교수 출신인 후지쓰카 지카시는 1936년 박사 논문에서 추사의 출생지가 예산이라고 했고, 일부 연구자들이 이 견해를 따랐다. 그러나 최열은 김정희가 외가인 한양 남부 낙동에서 태어났음을 밝힌다. 이와...

“추사 김정희 출생지는 충청도 예산이 아니라 서울 명동” (2021-08-09)
19세기 초 조선을 대표하는 학문과 예술의 거장인 추사 김정희(1786~1856)는 어디서 태어났을까? 지금까지... 경성제국대학 교수였다. 후지츠카는 1936년 자신의 박사논문 ‘이조의 청조문화의 이입과 김완당’에 ‘충남...

[대한민국號 70돌 | 김호기 교수가 만난 우리 시대 지식인] “전도하는... (2015-04-27)
미술사가이자 평론가인 그를 만나 우리 미술과 문화의 선 자리 및 갈 길에 대해 물었다. 인터뷰는 2월 26일... 대학 4년 동안 교수들한테 영향 받은 건 별로 없었고, 선배와 친구들로부터 배웠어요. 김윤수 교수가 유일하게...

[편완식이 만난 사람] 미술품 감정 전문가 이동천 교수 (2012-09-10)
그러나 현실에서는 일부 미술사가들과 미술상들이 저의 연구 결과물들을 무조건 ‘엉터리’라고 폄하하고... 그중에는 미국 UCLA대학의 한국미술사 교수인 부르그린드 융만 박사도 있었다. 융만은 공개강의 진행을 맡았던...

유홍준 교수 "김환기의 감동은 영원…조형적 성실성 탁월" (2017-04-03)
진행된 미술사가 유홍준 교수의 김환기 강연에 귀를 기울였다. 유 교수는 "김환기를 이야기하는 건 언제나 즐겁다"며 "추사 김정희나 수화 김환기 같은 분들이 있어 우리의 문화유산이 창출되고 미술시장이 활성화되고...

[전문]근대 화가 친일부터 현대 작가 장사까지…거침·성역 없이 비판·... (2022-04-19)
그는 “처음에는 한국 근대 미술사가 반쪽 미술사라고 생각했는데, 나중에 보면 삼분의 일 미술사 또는... 대부분 대학 교수들이나 박물관 종사자들이에요. 그런데 이 사람들은 대부분 작품 내용을 연구한 사람들이지...

90세 조각가 “ 아름다움이 뭔지… 지금도 몰라” (2021-11-24)
그는 대학 스승이자 교수 선후배로 함께 했던 김종영을 기리는 미술관에서 전시를 열게 된 것이 감회가 큰... 추사 김정희가 ‘법이 있어서도 안 되고 없어서도 안 된다’고 했잖아요. 동서양 미술사가 내게 모두 있되...

[1974~2020년, 전시로 본 통인화랑 역사-(27)]이계원‥동질이형, 시지각... (2020-08-03)
이러한 작품들에서는 관객과 작품과의 시지각(視知覺) 경험의 문제로 환원되었다. △글=김정희 미술사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전시=통인옥션갤러리(TONG-IN Auction Gallery Seoul), 7월26~8월20일, 2017년

미술사연구 교류에 힘쓰는 中중앙미술학원 오영민 교수 (2014-10-16)
그에 따르면 예찬은 허균이 관심을 보인 이래 심사성과 강세황, 정선, 그리고 김정희와 그의 주변... 오영민 교수 중국의 저명한 미술 전문대학인 중앙미술학원에 외국 미술사가 개설되기는 인도와 일본에 이어 한국이...

[특별기고] 백숙집에서 국밥집 가는 길의 동묘 / 유홍준 (2015-08-20)
미술사가로 살아가려면 대학교수가 되든지, 박물관 학예원이 되어야 하는데 유신헌법에 반대한 민청학련... 추사 김정희가 있다면 20세기에는 누가 있을까. 최소한 김환기, 이응로, 박수근, 백남준은 꼭 들어가야 한다고...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