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태국 출생 스턴트맨

소설가인 전민식의 대표 이미지

전민식

직업
소설가
출생일
1965 (60세)
출생지
대한민국 부산
조회수
총 22 (오늘 1)

학력 및 수상

2012년 제8회 세계문학상

저서 및 도서

길 너머의 세계
은행나무
2024-12-13
그냥 내버려둬
파람북
2024-04-25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전민식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전민식 관련 이미지


전민식 관련 뉴스


[인터뷰] ‘해정’ 통해 전한 전민식 소설가의 메시지 “깨어있어야 한... (2021-02-03)
[ 경기신문 = 신연경 기자 ] 전민식 소설가가 자신이 쓴 장편소설 ‘해정’에 대해 소개했다. (사진=전민식 소설가 제공) 전민식 소설가가 지난 1월 25일 장편소설 ‘해정’을 출간했다. (사진=실천문학사 제공)

[프런트 에세이]소설가 전민식의 세상 물정이라는 거, 하늘의 뜻이라는... (2013-05-03)
소설가 알베르 카뮈는 “어린이나 천재 혹은 죄 없는 인간만이 망각의 자질을 갖추었다”라고 말했습니다.... 글을 읽을 때 주로 어떤 기억이나 다른 이야기들을 떠올리며 옮아가는 편인데, 이달 전민식 작가의 글을...

[저자와 차 한 잔] 한 달 만에 1만 8000부 판매 ‘개를 산책시키는 남자... (2012-04-20)
전민식에게 마흔일곱의 ‘소설가’ 데뷔는 그동안의 고생을 보상해 주는 인생사적 대사건이다. 수상 소식을 들은 게 설 연휴 마지막 날(1월 24일)이었다니 3개월쯤 됐다. 소설가로 변신한 그 3개월, 참 바쁘게 지냈을...

전민식의 네 번째 장편소설 『9일의 묘』 (2015-04-24)
소설가 전민식의 네 번째 장편소설 『9일의 묘』를 만나봅니다. 전민식 작가님을 모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작가님? Q 이야기의 배경도, 또 책의 표지도 꽤 묵직하고 긴장감을 불러 일으키는 것 같아요. 우선 따끈따끈한...

미술가 한상철, 소설가 김멜라 '2024 문예비엔날레' 참여 (2024-09-26)
함께 소설가와 미술가의 대화시간도 마련된다. 정형준 작가의 미술작품을 보고 쓴 소설 김보겸 작가의 '凍土의 노래'와 김민영 작가의 미술작품을 보고 쓴 소설 전민식 작가의 '야반'이 발표되는 것을 비롯하여, 이태준...

미로 속 아이·길 너머의 세계·지옥 [신간] (2024-12-23)
기욤 뮈소 지음 | 양영란 옮김 | 밝은세상 | 360쪽 제8회 세계문학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소설가 전민식의 신작 장편소설 '길 너머의 세계'가 출간됐다. 소설은 '수목장'이라는 비일상적인 공간에 저마다의...

삶의 끝, 수목장서 만난 세명의 ‘다시 살기’ (2024-12-22)
수목장 업체에서 일하는 세 인물의 이야기를 다룬 장편소설 ‘길 너머의 세계’(은행나무)를 펴낸 소설가 전민식(59·사진)은 22일 전화 인터뷰에서 “한 번이라도 죽음을 생각해 본 적 있는 사람에게 위로가 되었으면 하는...

日에 "독도는 조선 땅" 문서 받아낸 백성 안용복을 아십니까 (2019-09-20)
오늘 모신 분은 소설가 전민식 작가입니다. 안용복이라는 인물, 울릉도와 독도를 지킨 인물로 알려져 있죠. 일본에 끌려가서도 독도는 조선 땅이라고 외쳤다는 이야기도 전해져 오는데요. 이 안용복의 투쟁기를 모티브로...

日에 "독도는 조선 땅" 문서 받아낸 백성 안용복을 아십니까 (2019-09-20)
오늘 모신 분은 소설가 전민식 작가입니다. 안용복이라는 인물, 울릉도와 독도를 지킨 인물로 알려져 있죠. 일본에 끌려가서도 독도는 조선 땅이라고 외쳤다는 이야기도 전해져 오는데요. 이 안용복의 투쟁기를 모티브로...

[전민식의 달달한 삶] 광장/소설가 (2022-12-21)
고등학생이 되는 아들과 즐겨 보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있다. 우리 집 텔레비전은 사실상 유명무실한데 그나마 매년 꾸준히 보는 프로그램으로 연말 즈음 금요일 저녁에 방영되는 ‘쇼미더머니’가 그것이다. 매해 새로운...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