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89년생 축구 선수

대학교수인 전영수의 대표 이미지

전영수

직업
대학교수
출생지
부산
조회수
총 40 (오늘 1)

같은 이름 다른 인물

전영수
정형외과의사,대학교수
전영수
(전직)방송인
전영수
정치인
전영수
금융인
전영수
경영컨설턴트,(전직)기업인
전영수
(전직)기초의회의원
전영수
법무사

동명이인 7명 더보기

저서 및 도서

인구 감소, 부의 ...
21세기북스
2024-03-27
다섯 매듭을 풀면 ...
지식과감성
2023-06-12
대한민국 인구 트렌...
블랙피쉬
2022-02-15
한국이 소멸한다 (...
비즈니스북스
2018-02-10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전영수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전영수 관련 이미지


전영수 관련 뉴스


[전영수의 로컬리즘] “나뭇잎을 팝니다!” 그 이후… (2025-04-29)
질서회복은 파괴적인 탐욕우선보다 앞설 수밖에 없다. 망각이 불러온 공멸현장을 정상화할 때다. 가미카쓰의 복원사업은 지속마을의 상식조건을 복기할 괜찮은 샘플사례 중 하나다. 전영수 한양대 국제대학교수

메인비즈협회, 전영수 한양대 교수 초청 '제140회 굿모닝CEO학습' 개최 (2025-04-15)
이날 강연은 전영수 한양대학교 국제대학교수가 나섰다. 전 교수는 '급변하는 노동시장, 중장년층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생존전략'을 주제로, 대한민국의 가장 시급한 이슈 중 하나인 인구 문제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포토] 기조강연하는 전영수 한양대 국제대학교수 (2025-03-11)
1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시 중장년 정책포럼 2025'에서 전영수 한양대 국제대학교수가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정재훈 기자 정재훈 hoon79@asiatoday.co.kr

'한양대학전영수 교수 기조 강연' 일자리 해법 찾는「서울시 중장년... (2025-03-08)
<전영수 교수: 중장년과 웰페어노믹스: 달라진 베이비부머로부터 지속가능성의 기회 찾기 > 포럼을 여는 기조강연은 한양대학전영수 교수가 맡았다. 전 교수는 중장년에게 필요한 진정한 노후대책은 정년 연장이 아닌...

양산상의 '전영수 한양대 국제대학교수 초청' CEO세미나 개최 (2024-09-24)
▲ /양산상공회의소 양산상공회의소(회장 박창현)는 24일 회원기업 대표 및 기관장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영수 한양대학교수를 초청하여 '인구소멸,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생존전략'을 주제로 CEO 세미나를...

농협금융, 인구위기 주제로 발전방향 모색 (2025-04-23)
인구경제학자인 전영수 한양대학교 국제대학교수의 강연에 이어 X세대,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대표하는 임직원 대표와의 토크쇼가 진행됐다. 전 교수는 "인구변화에 따른 정해진 미래와 새로운 질서에 대비해야...

[전영수의 로컬리즘] 산골마을 ‘미래편의점’ (2025-04-01)
그렇다면 미래편의점은 돈벌이보다 스토리다. 브랜딩전략과 같다. 이때 지역부활은 필연이란 입장이다. 중요한 건 우리다. 미래편의점 한국판은 어떻게 가능할까? 전영수 한양대 국제대학교수

[전영수의 로컬리즘] 원도심의 힘 (2025-03-04)
건설을 내세운 파괴는 설 땅이 없다. 원도심의 재생 요구가 높아진 지금, 마을의 중심에서 미래를 외쳐보기를 권한다. 원도심은 자격도 의지도 능력도 충분하다. 전영수 한양대 국제대학교수

[전영수의 로컬리즘] ‘부머+로컬=일석이조 행복전략’ (2025-02-04)
어쩌면 이곳 로컬에 30년 인생 후반의 행복 힌트가 있을 수 있어서다. 미래를 찾아 떠나는 부머 행렬을 기대한다. 청년 시절 서울이었지만, 노년 시기 로컬로 달라질 뿐이다. 전영수 한양대 국제대학교수

[전영수의 로컬리즘] 한국의 오늘은 인류의 미래? (2025-01-07)
로컬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강력해진 컨센서스가 요구된다. 어차피 인구는 준다. 줄어도 더 잘사는 로컬 실현에 인류 미래는 결정될 것이다. 애정과 열의로 로컬 재생의 한걸음에 주목할 때다. 전영수 한양대 국제대학교수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