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전북 임실 출생 교육기관단체인

대학교수인 박충모의 대표 이미지

박충모

직업
대학교수
조회수
총 2 (오늘 1)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박충모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박충모 관련 이미지


박충모 관련 뉴스


박충모 서울대교수 "식물뿌리가 햇빛 모니터링해" (2016-11-01)
(서울대 제공) ⓒ News1 뿌리 활성조작 통한 농작물 생산성 증진 활용 가능 서울대학교는 박충모 자연과학대학교수 연구팀이 식물 잎에서 흡수된 빛이 광섬유와 비슷한 물리적 구조를 가지는 관다발을 통해 직접...

'흙속 뿌리도 햇빛에 생물학적 반응' 입증 (2016-11-02)
서울대는 2일 이 대학 화학부 박충모 교수 연구팀이 식물 잎에서 흡수된 빛이 관다발을 통해 직접 지하의 뿌리까지 전달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애기장대와 야생종담배 식물 2종의 식물 줄기와...

서울대 연구팀 "식물 뿌리도 빛 인식할 수 있어" (2016-11-01)
2일 서울대에 따르면 이 대학 화학부 박충모 교수 연구팀은 잎에서 흡수된 빛이 관다발을 통해 직접 지하의 뿌리까지 전달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애기장대와 야생종담배 식물 2종의 식물 줄기와 뿌리를...

식물뿌리, 햇빛 모니터링…"빛 인식할 수 있다" (2016-11-01)
2일 서울대에 따르면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박충모 교수 연구팀은 최근 광화학적 분자생물학적 연구 기술을 융합, 잎에서 흡수된 빛이 광섬유와 비슷한 물리적 구조를 가지는 관다발을 통해 직접 지하의 뿌리까지...

서울대 연구진, 식물 뿌리의 새로운 기능 발견 (2016-11-05)
토양환경스트레스 저항력 증진 및 농작물 신품종 개발 연구 가능 [한국대학신문 윤솔지 기자] 서울대(총장 성낙인)는 최근 자연과학대학 연구진(책임자 박충모 자연과학대학 교수, 이효준, 하준호 연구원)이 식물 뿌리의...

특정 단백질 만드는 유전자 발견 (2011-05-23)
서울대학교는 박충모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교수팀이 애기장대(두해살이풀)를 이용해 연구한 결과 식물 전사(轉寫)인자 단백질 중 'IDD14'를 만드는 유전자가 자신의 기능을 적절히 조절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식물이 강추위에도 끄덕없는 건 저온 저항성 단백질 만들기때문 (2011-05-23)
서울대 박충모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교수팀은 "유전자는 선택적 재조합을 통해 스스로를 조절하는 능력이 있다는 '전사(轉寫)인자 유전자 자가조절 원리(PEPi)'를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유전자가...

전남대 민정준/김재국/국현 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선정 (2022-11-21)
▲정책학부(1명) - 김소영(KAIST) ▲이학부(9명) - 강명주(서울대), 김창영(서울대), 박정영(KAIST), 박충모... 전남대 민정준(의과대학/사진 좌측), 김재국(공과대학/가운데), 국현 교수(의과대학/우측) /사진=전남대 제공...

전남대 민정준·김재국·국현 교수,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선정 (2022-11-20)
공과대학), 국현 교수(55, 의과대학) 등 3명이 포함됐다. 이들은 모두 전남대 출신으로 모교에서 세계적인... (KAIST), 박충모(서울대), 박홍규(고려대), 안지훈(고려대), 이규철(서울대), 이성근(서울대), 최원식(고려대)...

유전자 스스로 자기 단백질 억제한다 (2011-05-23)
서울대학교는 박충모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교수팀이 애기장대(두해살이풀)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식물 전사(轉寫)인자 단백질 가운데 하나인 'IDD14'를 만드는 유전자가 '추위'라는 스트레스를 겪으면 반대로...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