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07년생 미술

대학교수인 김문길의 대표 이미지

김문길

직업
대학교수
출생지
경북 영천
조회수
총 5 (오늘 2)

저서 및 도서

사회통합 실태 진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12-01
청년층 삶의 환경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12-01
일본군 위안부 성노...
대양미디어
2020-08-15
사회통합 실태 진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12-01
독도는 한국 땅 (...
대양미디어
2020-06-22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김문길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문길 관련 영상


김문길 관련 이미지


김문길 관련 뉴스


[대경초대석] 김문길 한일문화연구소 소장 (2025-02-19)
김문길 교수는 교토대 학부에서 일본문화를 연구했으며, 국립 고배대 일본사 학술박사, 일본 문화 철학 박사이며, 전 교토대학 외국인교수, 전 부산외대 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한일문화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그는...

김문길 박사의 「일본 속 조선 역사 연구」...1800명 조선인 귀·코 무덤... (2023-11-27)
부산외국어대 김문길 명예교수(한일문화연구소장)에 의해 일본에서 또다시 발견됐다. 때문에 김 박사는... 김 박사는 1979년부터 10년간 일본 교도대학과 고베대학에서 일본문화와 문학연구(일본사)를 해오면서...

3.1운동때 '조선인 귀무덤' 철거될 뻔했었다 (2018-02-28)
부산외국어대학 명예교수김문길 교수는 일본 국립교토대학과 고베대학원에서 한일관계사를 전공한 후 20여 년간 일본에서 자료를 수집 연구하고 있다. 김 교수의 설명을 종합해보면 아래와 같다. 사이토 마코도는...

"옛지도와 사료로 문화유산 소중함 되새겨요" (2023-08-10)
" 이번에 전시되는 고지도는 일본 교토대학 교수를 지낸 김문길 부산외대 명예교수와 헝가리에 거주하는 최귀선 세계한인무역협회 부회장이 기증한 자료들로, 사료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이...

제9회 가야문화진흥 학술대회 (2024-05-02)
가야인의 지역 분포도"로 김문길 부산외국어대학 명예교수가 발표하였다. 한일문화 연구소장인 발제자는 712년과 720년경에 만들어진 일본의 고사기(古事記)와 일본서기(日本書紀)를 인용하여 스진천황이 가야계 후손임을...

'군 사기 꺾지 않도록'... 78년전 곤론마루 사건 은폐 정황 (2021-10-05)
2016년부터 이 사건을 추적하던 김문길 부산외국어대학 명예교수(한일문화연구소장)는 사망명부를 당시 일본 산요철도 운송회사(현 일본국철인 JR)에서 겨우 입수했다. 어려움도 있었다. 당시 승선인들은 창씨개명 한...

"에비야" 슬픈 연원따라 찾아간 대마도 귀무덤 (2017-09-18)
▲ 부산 아르피나 유스호스텔에서 열린 한국민족종교협의회 개회식 모습 ⓒ 오문수 부산외국어대학 명예교수김문길 교수는 일본 국립교토대학과 고베대학원에서 한일관계사를 전공했다. 20여 년간 일본에서 독도를...

"동해는 조선해, 일본해는 일본서해"라 적힌 일본 고지도 (2017-08-13)
ⓒ 오문수 일본 국립교토대학을 졸업하고 고베대학 대학원에서 한일관계사를 전공한 김문길 교수는 부산외국어대학에서 일본어를 강의했다. 퇴직한 그는 20년째 일본에 거주하면서 일본인들에게 한일관계사를 강의하고...

우리가 다시 알아야 할 '독도의 진실' (2017-08-12)
▲ 코리아나호에서 울릉도독도탐사대원들에게 독도의 진실에 대해서 강의하고 있는 김문길 교수. 일본대학대학원에서 한일관계사를 전공하고 수많은 일본자료를 발굴한 한일관계 전문가다 ⓒ 오문수 "신라 지증왕...

'군 사기 꺾지 않도록'... 78년전 곤론마루 사건 은폐 정황 (2021-10-05)
2016년부터 이 사건을 추적하던 김문길 부산외국어대학 명예교수(한일문화연구소장)는 사망명부를 당시 일본 산요철도 운송회사(현 일본국철인 JR)에서 겨우 입수했다. 어려움도 있었다. 당시 승선인들은 창씨개명 한...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