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51년생 인문과학연구원

인간문화재,국악소리가인 이양교의 대표 이미지

이양교

출생지
충남 서산
조회수
총 6 (오늘 1)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이양교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양교 관련 이미지


이양교 관련 뉴스


한국문화재재단 이수자지원사업 선정작 '장안의 소리' 13일 공연 (2018-07-11)
‘상어가족’ 국악버전을 불러 널리 알려진 소리꾼인 박진선 명창(경기민요 명예보유자 이은주 이수, 서도소리 인간문화재 김광숙 이수)이 꾸미게 된다. 먼저 1부 선비판과 기판, 기사를 만나다 시간에는 가사음악을...

젊은 명창 박진선에게 듣는 가사, 오는 25일 돈화문 국악당에서 ‘장안... (2017-06-20)
그리고 김옥심 명창의 제자였던 서도소리 인간문화재 김광숙씨에게 서도소리를 이수했다. 여기에 그치지... 권번계통의 소리와 달리 기교가 적은 반면, 호흡이 길다. 이양교 계통의 가사를 한대식이 재연한다. 1부 마지막...

정통 국악인의 길을 걸은 소리꾼 김용우 | “우리 민요를 현대감각에 맞... (2017-07-27)
국악클럽을 표방하는 블러섬랜드를 가득 채운 관객은 어깨를 들썩이며 공연을 즐겼고, 공연이 끝나자 김용우... 곱고 부드럽게 소리를 내는 창법이 민요와 다르다. 운 좋게도 바로 인간문화재 이양교 선생의 전수자가 되어...

국악은 살아있다, 명인의 숨결 속에 (2003-10-28)
첫날인 29일은 이양교(중요무형문화재 제41호 가사 예능보유자), 묵계월(제57호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판소리 인간문화재가 됐다. 박동진 명창 타계 후 판소리계의 현존하는 가장 큰 어른으로, 고령의 나이에도...

‘예인 숨결’ 가득한 국악 한마당 (2003-10-23)
이양교, 정광수, 김천흥, 성경린, 이매방, 정재만, 묵계월, 김응서, 정재국, 김수악. 우리 국악계의 최고봉인... 판소리 인간문화재가 됐다. 박동진 명창 타계 후 판소리계의 현존하는 가장 큰 어른으로 모셔지고 있으며...

[공연]명인의 숨결속 국악은 흐른다 (2003-10-28)
29일에는 이양교(중요무형문화재 41호 가사 보유자) 묵계월(〃 57호 경기민요 보유자) 정광수(〃 5호 판소리... 우리나라에서 1964년 처음 판소리 인간문화재가 된 정광수(94) 명인은 이번 무대에서 ‘수궁가’를 들려줄...

은평지역 전통 예인들의 삶과 예술 이야기로 풀어낸다. (2019-09-16)
먼저, 김문성 국악 평론가가 일제강점기 구파발에서 살던 신해중월을 비롯한 국가무형문화재 가곡... 가사 인간문화재 이양교, 선소리산타령 인간문화재 황용주, 서울시 인간문화재 박상옥, 피리 잽이 고(故) 김찬섭 명인...

故윤평화 선생 타계 10주기 추모공연, '선소리 산타령 윤평화를 그리며... (2019-11-05)
이후 1991년 5월에는 박태여 선생과 함께 선소리산타령 전수조교로 인정 받았다. 국악의 해인 1994년에는 49세의 비교적 젊은 나이로 인간문화재 故박동진, 故전효준, 故이양교 선생과 함께 자랑스런 서울시민 600인에...

끊길 듯 이어지고, 이어질 듯 끊기는 ‘시조창’의 매력 (2012-05-24)
그러다 10살 때, 최고의 여류가객으로 손꼽히던 김월하(인간문화재ㆍ1918∼1996)선생의 공연에 매료돼... 목소리’다며 극찬한다. 시조 외에도 다양한 국악 분야에 관심이 많았던 터라 중요무형문화재 제41호 이양교...

<국악계 최고 명인들 한 자리에> (2003-10-21)
첫날인 29일은 이양교(중요무형문화재 제41호 가사 예능보유자) 묵계월(제57호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정광수... 판소리 인간문화재가 됐다. 박동진 명창 타계 후 판소리계의 현존하는 가장 큰 어른으로 모셔지고 있으며...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