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88년생 여자 애니메이션 감독

대학교수인 이강우의 대표 이미지

이강우

직업
대학교수
조회수
총 13 (오늘 1)

같은 이름 다른 인물

이강우
변호사
이강우
기업인,(전직)정무직공무원,(전직)행정공무원
이강우
행정공무원
이강우
보험인
이강우
금융인
이강우
(전직)대학교수
이강우
광고프로듀서
이강우
재활의학과의사,(전직)대학교수

동명이인 10명 더보기

저서 및 도서

코로나 시대 되는 ...
국민일보
2021-03-29
베트남어 첫걸음
삼지사
2019-06-15
딱 반걸음만 앞서가...
살림출판사
2007-02-15
운동 스포츠지도 아...
대경북스
2011-02-25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이강우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강우 관련 뉴스


[ET대학포럼] 〈208〉기술패권 시대, 미래유망기술의 중요성 (2025-02-12)
발굴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유망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조속히 갖추게 되길 기대한다. 이강우 연세대 의과대학 겸임교수·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전략기획본부장

[아임 프롬 인천·(28)] “이 다음 세계가 재밌죠” 이태수 서울대 명예... (2024-06-19)
/김용국기자 yong@kyeongin.com이태수 교수는 충남 논산 출신 이강우씨와 어머니 구숙희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태수 교수대학정책실장 직을 처음 제안받은 것은 1993년이다. 문민정부 초기 어느 날 오병문 교육부...

LH, 18일부터 제28회 LH 대학생 주택건축대전 개최 (2024-06-17)
시사위크=이강우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는 신 주거유형에 대한 대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올해 공모전은 박정환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 교수가 코디네이터로 참여해 △공모 주제 및 방향 설정...

"코리아 R&D 패러독스, 실체 있나"…국가 R&D 전환·혁신방안 논의 (2024-04-17)
패널 토론에는 오태석 서강대 기술경영전문대학교수가 좌장을 맡아 이강우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본부장, 이인환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본부장, 조선학 과기정통부 국장, 최영진 한국연구재단 본부장, 홍성주...

민·관·학 연결하는 동국대 테스트베드, 지역 주민 건강 케어한다 (2021-02-24)
이강우 교수 : 우리 대학에는 대략 70개 정도 다양한 학과들이 있으며 각 전공에는 전문성을 지닌 교수들이 있다. 교수들이 기술적인 부분에는 약하지만 관련 산업에 대해서는 전문가라서 실질적인 사업을 진행할 때 꼭...

마산청과시장에 ‘싱싱한 채소 과일 그림’ 감상하러 가볼까 (2023-06-20)
이강우 작가는 서울예술대학 사진과 교수로 현실을 영감으로 한 깊이 있는 사진을 작업하며, 마산청과시장의 초대작가로 활동한 바 있다. 이기진 작가는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이자 가수 CL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다. 유학...

서울 떠나 영양에 뿌리 신아푸드…"스마트팜·수경재배 멜론 생산, 고속... (2023-04-16)
서울 태생의 이강우 신아푸드 대표는 대학 재학 중 지도교수와 농업에 IT 기술을 접목하는 창업을 구상했으나 자금 문제로 꿈을 접었다. 영양에서 그는 경북도의 도시청년시골파견제와 경영임대실습농장을 접하고서 옛...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교육을 준비하기 위한 세미나 열려 (2017-10-20)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방향’ 세미나에서는 과학기술통신부 남민우 사무관, 동국대학이강우 교수, 인하공업전문대학 손병희 교수, 충북대학교 안영재 교수, Fusetools korea 곽상철 대표 등 각계 전문가의 5강연으로...

[이강우의 무지(無智) 무득(無得)]숭본식말(崇本息末) (2023-07-06)
당연히(?) 대학은 학생과 교수 등 구성원 의견을 들으며 긴급 교무위원회 등을 수차례 열어 그야말로 전력을... 어느 날 낯 선 곳에 머무르고 있을 우리의 미래가 두렵다. 이강우 동국대 AI융합대학

[이강우의 무지(無智) 무득(無得)]인재양성 생태계 (2023-03-02)
교수인 필자가 대학에 말하고 싶다. 절체절명의 위기라고 절규하는 대학이 생존을 넘어 발전을 도모하려면... 대학은 한 국가의 존립과 발전에 너무나 소중한 공공재이기 때문이다. 이강우 동국대 AI융합대학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