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69년생 은평구 갑 당협위원장

대학교수인 박근서의 대표 이미지

같은 이름 다른 인물

박근서
공인회계사

저서 및 도서

2023 로이어스 ...
헤르메스
2023-07-10
대중문화, 정의와 ...
한국학술정보
2023-01-31
2023 국제거래법...
헤르메스
2022-06-01
2023 로이어스 ...
헤르메스
2022-05-10
대중문화, 정의와 ...
한국학술정보
2021-12-31
2022 국제 거래...
헤르메스
2021-09-30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박근서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박근서 관련 이미지


박근서 관련 뉴스


누가 게이머들을 '환자'로 만드는가? 게임중독 관련 논문 한국이 압도적... (2019-05-03)
'세계보건기구 게임 질병 코드 분류 추진,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긴급 토론회에는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윤태진 교수, 대구가톨릭대학박근서 교수, 문화체육관광부 게임산업과 박승범...

누가 게임을 시간낭비라 하는가 (2019-04-18)
이것이 바로 위대함의 징표이자 본질적인 전제조건이다.” 박근서 대구 가톨릭대학 교수(언론광고학부)는 탈주라는 현대철학의 개념으로 게임을 분석한다. 들뢰즈와 가타리에게서 탈주는 고정된 사고의 틀이나 규범적인...

잘 가거라, 10년의 드라마여 (2010-12-31)
오병일 진보네트워크 활동가와 박근서 대구가톨릭대학 교수는 공히 다음 10년의 키워드로 네트워크가 만들어낸 “공동체”에 주목한다. 이것은 지난 10년을 대표하는 사물로 꼽힌 다섯 가지(인터넷, 휴대전화...

[박근서의 대중문화 일기] 트리플, 드라마의 리얼리티 (2009-07-11)
그만큼 드라마는 소통이 더욱 중요하다. 물론 소통이란 드라마의 '설득력'과 관계된다. 모처럼 볼 만한 드라마를 만났다. 소통에 성공해서 설득력 있게 마무리하기 바란다. (대구가톨릭대학 언론광고학부 교수) .

'나는 게임이다', 게임문화재단 심포지엄 개최 (2012-02-22)
발표를 진행한 대구 가톨릭대학박근서 교수는 "게임은 사회성을 좀 더 진전된 형태로 구현하리라는 기대를 갖게 만든다"라고 언급하며 "이는 SNG를 통해 나타난 SNS적 소통 구조의 보완 혹은 지원이라는 측면에서뿐...

"나는 게임이다" 심포지엄 개최…게임은 삶을 구성하는 문화 (2012-02-21)
◆대구카톨릭대학박근서 교수 "SNS 혁명, 게임은 미디어다" 대구카톨릭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박근서 교수는 SNS 혁명과 게임환경에 대해 "SNS에 의해 초래된 소통 환경의 변화는 SNG라는 새로운 형태의 게임이 등장한...

"권력은 '빵꾸똥꾸'를 두려워한다" (2010-01-19)
"권력은 '빵꾸똥꾸'를 두려워한다"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박근서 대구가톨릭대학교수(언론광고학부)는 "대중문화에 관한 낡은 담론을 다시 꺼내는 까닭은 우리의 대중문화 상황이 수상쩍기 때문"이라며...

질병코드 저지 공대위 "게임이 질병?…'게임=문화' 여론 뭉쳐야" (2019-05-03)
e스포츠 해설가, 윤태진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교수,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 이동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이종임 문화연대 집행위원, 박근서 대구가톨릭대 교수, 양철모 믹스라이스 활동가. 사진/김동현 기자

문화연대, 'WHO 게임 질병코드 분류 추진, 무엇이 문제인가' 긴급토론 (2019-05-03)
박근서 대구가톨릭대학교수, 박승범 문화체육관광부 게임산업과 과장, 양철모 시각작가, 온상민 E스포츠 해설가,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 및 (가칭)게임질병코드 도입 저지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대표, 이종임...

몰입과 중독의 기로에 선 게임…유희는 왜 병인(病因)이 됐나 (2019-05-17)
대구카톨릭대학교 언론광고학부 박근서 교수도 이 같은 게임 산업에 대한 낙인찍기를 우려했다. 박 교수는 "(게임질병코드 도입은) 개인을 통제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메카니즘을 갖는다는 위험성도 있다"라며 "왜...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