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24년생 천문/기상학자

대학교수인 송문석의 대표 이미지

송문석

직업
대학교수
출생지
대한민국
조회수
총 5 (오늘 1)

경력 사항

신경대학교 총장

같은 이름 다른 인물

송문석
신문기자
송문석
대학교수
송문석
대학교수
송문석
한국화가

저서 및 도서

신화 비밀 코드 (...
푸른사상
2018-05-10
인지 시학
푸른사상
2004-10-30
신편 철도 차량 공...
구미서관
2013-09-27
최신 공업열역학
북스힐
2009-03-05
심장재활 운동지침서
광림북하우스
2009-09-10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송문석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송문석 관련 이미지


송문석 관련 뉴스


[송문석 칼럼]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다...비상계엄은 대한민국 국격을... (2024-12-29)
이 회장의 아들 이철우 연세대 법학전문대학교수 역시 윤 대통령과 초등학교·대학교 동기 동창으로 윤 대통령의 죽마고우로 알려졌다. 이 회장 부부는 윤 대통령을 초등학교 때부터 알고 지냈다고 한다. 이 회장은...

(인터뷰)송문석 도시철도학회 신임 회장 (2014-01-08)
수석부회장으로는 이희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교수가 선임됐다. 송문석 교수는 지난 1992년부터 교통대학교에서 근무한 철도분야 전문가로, 지난해 5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창립 심포지엄과 지난해 10월...

통일철도, 대륙철도, 세계철도를 향하여! (2006-05-16)
▲ 왼쪽부터 러시아에서 유학하고 있는 북한 학생, 이 글의 필자인 송지영 씨, 송 씨의 아버지인 한국철도대학 송문석 교수, 시베리아교통대학교 니하로시코프 부총장. ⓒ 송지영 다행히도 북한 학생들은 공부를 잘합니다....

[송문석 칼럼] "세상에 이런 법도 있습니까?" (2016-10-03)
초등학교 교사가 학생에게 사탕 하나도, 대학교수가 캔커피 하나도 받아서는 안 되는 게 이 때문이다. 김영란법 신고 1호 캔커피가 왜 중한지 이제 알 만한가.그런데 이게 생각처럼 간단하지가 않다. 판사와 변호사...

[송문석 칼럼] 출산율 추락과 국가 소멸 위기, 인구정책 실패가 큰 원인... (2024-07-16)
태평양 건너 미국의 생면부지 대학교수가 "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다"고 비명을 지르는 것을 오히려 우리들은 "왜 저러지?"라고 멀뚱멀뚱 신기한 듯 쳐다보는 꼴이다. 30여 년 전 신문사 기자로 사회복지문제를 담당하던...

[송문석 칼럼] 흑사병 보다 무섭다는 한국의 초저출생...국가소멸 위기... (2023-12-04)
데이비드 콜먼(Coleman) 영국 옥스퍼드대학 명예교수는 이미 지난 2006년 유엔 인구포럼에서 한국이... 취재기자 송문석). 너무나 당연한 주장이고 대책이다. 그러나 서울이 폭발할 정도로 비대하고 집중화돼 있는데도...

[송문석 칼럼] "세상은 미쳤다" ... 그래도(Anyway) (2021-01-04)
취재기자 송문석). "그렇다. 세상은 미쳤다. 세상 돌아가는 꼴이 하나도 마음에 들지 않는가? 그렇게 생각하는 게 당연하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진짜로 미쳤으니까." 미국 변호사이자 주 정부 관료, 대학교수...

[송문석 칼럼]알메달렌, 폴케뫼데, 그리고 한국 정치 (2019-03-13)
편집주간 송문석 중세 바이킹의 숨결이 살아있는 스웨덴의 섬 고틀란드. 발트해 한복판에 자리 잡고 있어... 2011년부터 매년 알메달렌을 찾아 현장을 기록한 정치학자 최연혁 스웨덴 린네 대학 정치학과 교수는 스웨덴...

[송문석 칼럼]그들만의 리그, '조국 사태'의 끝은 어디인가 (2019-09-09)
대학교수인 부모끼리 아는 사이였기 때문에 가능했던 조국 딸의 인턴십을 누구나 할 수 있는 "보편적 기회"라고 옹호하는 김종민 민주당 의원, 표창장 논란의 중심에 선 동양대 최성해 총장을 "태극기 부대"라고 갈라치기...

[송문석 칼럼] 청와대와 국민의 거리 (2015-11-09)
미국 MIT대학의 토마스 알렌 교수는 1970년대 말 '15m 법칙'으로도 불리는 '알렌 곡선'을 발표했다. 사람들간의 물리적 거리가 15m를 벗어나면 대화의 빈도가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효율적인 소통이 어려워진다는 거다....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