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한교
|
|
같은 이름 다른 인물
이한교
대학교수
대학교수
저서 및 도서
최근 인물 추가정보
-
22시간 전, 손병흥 한국스피치리더십샌터 대표/시인님에 대한 6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일 전, 이수환 판사, (전직)변호사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2일 전, 임아랑 검사님에 대한 158번째 신규 정보 추가
-
3일 전, 오영제 연구인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5일 전, 지귀연 판사님에 대한 842번째 신규 정보 추가
-
5일 전, 하정우 영화배우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5일 전, 쿠로사와 나치 AV배우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6일 전, 천정하 연극배우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6일 전, 임아랑 검사님에 대한 157번째 신규 정보 추가
-
6일 전, 염수정 성직자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7일 전, 손병흥 한국스피치리더십샌터 대표/시인님에 대한 5번째 신규 정보 추가
-
9일 전, 황동희 탤런트, 영화배우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9일 전, 김한봉 레이서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0일 전, 김영규 변호사,(전직)검사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0일 전, 성하운 신문기자님에 대한 2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0일 전, 손경애 서양화가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0일 전, 지귀연 판사님에 대한 84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0일 전, 지귀연 판사님에 대한 840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1일 전, 송인혁 연극배우님에 대한 1번째 신규 정보 추가
-
12일 전, 지귀연 판사님에 대한 839번째 신규 정보 추가
이한교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한교 관련 이미지
이한교 관련 뉴스
이한교 교수 '멍텅구리의 생각' 출간 (2019-02-20)
이한교 한국폴리텍대학 김제캠퍼스 교수가 펴낸 <멍텅구리의 생각>(북랩). 이 책에는 수필가이자 칼럼니스트인 이 교수가 신문 등에 기고해 온 180여 편의 칼럼 중 <지렁이의 눈물>에 싣지 못한 작품과 창작 단편소설...
신랄한 현실 꾸짖기, 이한교의 '멍텅구리의 생각' (2019-02-20)
한국폴리텍대학 이한교 교수는 문집 '멍텅구리의 생각(북랩·1만4,000원)'을 통해 정치권의 비리, 청년 실업, 낙하산 문화 등 한국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에 대해 가차 없이 비판의 날을 세운다. 이 책은 저자가 신문 등에...
[열린시선/이한교]청년 실업, 이공계 우대로 풀어야 (2015-02-22)
[동아일보] 이한교 한국폴리텍대학 김제캠퍼스 교수 대기업 신입사원의 80∼85%가 이공계 전공자라며 인문계가 홀대받는다는 보도가 나왔다. 여기에 교육 부총리가 나서 취업률이 높아지는 이공계 정원을 늘리고 인문계...
[신간산책] 한 대학교수의 신랄한 현실 꾸짖기 ‘멍텅구리의 생각’ (2019-02-15)
북랩은 정치권의 비리, 청년 실업, 낙하산 문화 등 한국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에 대해 가차 없이 비판의 날을 세운 한국폴리텍대학 이한교 교수의 문집 ‘멍텅구리의 생각’을 펴냈다. 이 책은 저자가 신문 등에 기고해 온...
돈과 권력을 따르지 않고 부조리한 세상에 맞선다! 신간도서 <멍텅구리... (2019-02-17)
북랩은 정치권의 비리, 청년 실업, 낙하산 문화 등 한국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에 대해 가차 없이 비판의 날을 세운 한국폴리텍대학 이한교 교수의 문집 '멍텅구리의 생각'을 펴냈다. 이 책은 저자가 신문 등에 기고해 온...
이한교 교수의 칼럼집 '지렁이의 눈물' (2016-08-03)
본보 칼럼니스트인 이한교 한국폴리텍대 김제캠퍼스 교수가 신간 '지렁이의 눈물'(북랩ㆍ1만 4,800원)을... 대학교수이자 수필가, 칼럼니스트인 저자는 민감한 국가적인 사안에서부터 지역의 소소한 문제까지, 우리 사회가...
전주 혁신도시 KTX신역 신설에 대한 소견 (2019-01-22)
따라서 더 늦기 전에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도시의 외곽개발을 막고 도시를 압축해 1인당 세출 액을 줄여 주는 것이다. 이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이한교<한국폴리텍대학 김제캠퍼스 교수>
왜 교육정책은 늘 흔들리나 (2017-09-05)
결론적으로 정치지도자가 교육 현안을 정치적으로 판단하고 늘 정치 생명 연장선에서 바라본다면 결코 우리에겐 미래가 없다는 얘기다. 이한교<한국폴리텍대학 김제캠퍼스 교수>
인구절벽 해결은 일자리가 답이다 (2018-01-21)
정부나 지자체 단체장은 모든 일을 정권연장선에서만 보지 말아야 한다. 더 늦기 전 우리 모두 공동노력으로 일자리를 만들어 갈 때 인구의 절벽이 무너지게 될 것이다. 이한교<한국폴리텍대학 김제캠퍼스 교수>
청년실업문제를 해결하려면 (2017-10-12)
땀과 기술의 가치가 높게 평가받을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를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 그리고 이런 내용이 일자리정책 5년의 로드맵 속에 담겨야 청년실업 문제가 해결된다는 얘기다. 이한교<한국폴리텍대학 김제캠퍼스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