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72년생 여자 영화감독

소설가인 공지영의 대표 이미지

공지영

직업
소설가
출생일
1963.01.31 (62세)
출생지
대한민국 서울
성별
신체
A형
데뷔
1988년 창작과 비평 '동트는 새벽' 등단
조회수
총 7 (오늘 1)

학력 및 수상

2011년 제6회 최고의 책 시상식 최고의 작가

경력 사항

국가인권위원회 홍보대사

출연 영화

맥코리아
출연
내레이션 역

저서 및 도서

인간에 대한 예의
창비
2006-10-25
너는 다시 외로워질...
해냄출판사
2024-09-30
사랑 후에 오는 것...
소담출판사
2024-08-15
너는 다시 외로워질...
해냄출판사
2023-12-22
딸에게 주는 레시피
한겨레출판사
2023-09-20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공지영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지영 관련 이미지


공지영 관련 뉴스


"행동으로 세상을 바꾼 문학가"... 김금희·고정욱·공지영이 기억하는... (2025-04-23)
작가로서도, 인간으로도 너무나 중요한 메시지를 보여주신 거예요." 공지영 소설가 "예수의 대리자를 보는 기분" 가톨릭 신자인 공지영 소설가도 교황을 떠올리며 "세상에 태어나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분이었다"며 "내내...

대구 수성성당 온 공지영 작가 "진보·보수보다 상식·비상식이 더 중요... (2025-03-30)
한국을 대표하는 소설가 공지영 작가는 지난 27일 천주교 대구대교구 수성성당 초청으로, 사순특강 '기도하는 하루'를 주제로 강연했다. 사순절은 기독교의 대표적인 절기로 부활절 전 40일 동안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조희문의 영화세상] 소설가 공지영의 참회록을 접하니… (2024-01-31)
소설가 공지영이 자신의 정치적 과오에 대한 참회록을 쓴 것이다. 새로 낸 산문집에서 공지영은 운동권 세대의 특정인을 가리켜 한때는 열렬하게 옹호했지만 잘못을 저지르고도 사과하지 않는 모습에 실망했다고...

[경남의 거장을 만나다] 소설가 공지영과 다시 읽는 ‘박경리와 토지’ (2023-05-25)
[공지영/소설가 : "(박경리 선생이) 지나가시다가 여기를 보고 여기쯤이면 지주가 있겠다, 갈등이 충분히 생겨서 대하소설이 나오겠다고 생각을 하셨다고 해요."] 소설의 인기는 허구와 현실의 경계를 허물고 사람들의...

화무십일홍 (2025-04-29)
그러나 나는 이 허망함을 찬양한다. 가고 있는 이 봄날을. 그리하여 내 영혼에 말해본다. 이 허망함을 누리자. 있을 때 보고 사랑하자, 카르페 디엠! 글 _ 공지영 마리아(소설가)

"미안해 죽겠다" 공지영 '조국 옹호' 사과에…진중권 "돌아온 것만도 반... (2024-01-25)
소설가 공지영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옹호했던 자신을 반성하면서 앞서 관계까지 끊었던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에게 사과했다. 이에 진 전 교수는 '내가 알던 공지영으로 돌아온 것만으로 반갑다'고 화답했다. 공...

[책]공지영의 혼자 될 결심 (2024-01-16)
소설가 공지영(61)은 지난 몇 년간 번아웃에 시달렸다. 작가로 살기 시작한 이래 평생 처음으로 글을 떠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경남 하동군에 새 집을 마련한 작가는 3년 넘게 글을 발표하지 않고 살았다. 그는...

[K스토리] 알고 싶은 사람...공지영 작가를 만나다 ① (2024-01-27)
하동에는 소설가 공지영 작가가 살고 있다. 3년의 공백을 깨고 돌아온 공 작가. 그 동안 그는 어떤 심경의 변화를 겪었을까. 연합뉴스 글로벌코리아본부장 정규득 선임기자와 공 작가와 함께 유럽 여행을 떠난 인연의...

[경남의 거장을 만나다] 소설가 공지영과 다시 읽는 ‘박경리와 토지’ (2023-05-25)
[공지영/소설가 : "지나가시다가 여기를 보고 여기쯤이면 지주가 있겠다, 갈등이 충분히 생겨서 대하소설이 나오겠다고 생각을 하셨다고 해요."] 소설의 인기는 허구와 현실의 경계를 허물고 사람들의 실제 삶으로...

[경남의 거장을 만나다] 소설가 공지영과 다시 읽는 ‘박경리와 토지’ (2023-05-25)
[공지영/소설가 : "(박경리 선생이) 지나가시다가 여기를 보고 여기쯤이면 지주가 있겠다, 갈등이 충분히 생겨서 대하소설이 나오겠다고 생각을 하셨다고 해요."] 한국 문학사에 큰 획을 그은 '토지'는 여러 언어로도...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