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70년생 자동차정비원

시인인 김사윤의 대표 이미지

김사윤

직업
시인
출생일
1968.11.22 (56세)
출생지
대한민국 대구
신체
키 178cm, 체중 72kg
조회수
총 43 (오늘 1)

학력 및 수상

제5회 후백 황금찬 시문학상
인물정보 수정요청
업데이트 일시: 2023-12-02

같은 이름 다른 인물

김사윤
(전직)은행인

저서 및 도서

키다리의 꿈
문학공감
2024-07-05
시시비비 (침묵하지...
문학공감
2019-07-12
ㄱ이 ㄴ에게 (여섯...
문학공감
2018-08-16
여자, 새벽걸음 (...
문학공감
2016-07-09
가랑잎 별이 지다 ...
지식공감
2013-10-29
돼지와 각설탕 (김...
좋은땅
2011-11-04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김사윤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사윤 관련 이미지


김사윤 관련 뉴스


북콘서트 '첫눈, 그리고 시인 김사윤과 함께하는 책이야기' (2024-11-12)
###〈공연 취소 알림〉 지트리아트컴퍼니는 21일 여러가지 사정으로 인해 22일 예정됐던 김사윤 시인의 북 콘서트를 취소한다고 알려왔습니다. 대구 출신 김사윤 시인의 신간 '키다리의 꿈' 출판을 기념하는 북콘서트가...

김사윤 시인 신간 북콘서트 (2024-11-12)
대구출신 김사윤 시인이 최근 출간한 신간 '키다리의 꿈' 북콘서트를 22일 오후 7시 한영아트센터 안암홀에서 진행한다. 김사윤은 따뜻한 시선과 날카로운 문장력으로 많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으며 6권의 시집과 3권의...

시인 김사윤 산문집 ‘키다리의 꿈’ 출간 (2024-07-21)
뉴데일리 강승탁 기자 = 김사윤 시인의 세 번째 산문집 ‘키다리의 꿈’이 출간됐다. 김 시인은 이번 책에서 깊이 있는 문학적 탐구를 펼치며, 사회적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사유를 제시하고 있다. 그는 시와 산문을 통해...

시인 김사윤 산문집 '키다리의 꿈' 출간 (2024-07-15)
김사윤 시인의 세 번째 산문집 '키다리의 꿈'이 출간됐다. 김 시인은 이번 책에서 깊이 있는 문학적 탐구를 펼치며,사회적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사유를 제시하고 있다. '키다리의 꿈'이라는 제목은 현대 사회의 복잡한...

시인 김사윤 에세이 '키다리의 꿈' 출간 (2024-07-18)
시인 김사윤의 세 번째 산문집 '키다리의 꿈' 신간이 출간했다. 첫 번째 산문집 '시시비비'는 청춘들을 향한 응원의 메시지였다. 이어 작가 박경주와 공저한 '다시 내릴 비'는 부박한 삶을 시와 산문의 어우러짐으로 완성한...

대구 출신 김사윤 시인, 첫 산문집 '시시비비(詩詩非非)' 펴내 (2019-07-22)
김사윤 시인 첫 산문집 '시시비비(詩詩非非)'. 대구 출신 김사윤 시인이 첫 산문집 '시시비비(詩詩非非·지식공감)-침묵하지 않는 언어의 단상'을 펴냈다. 세대 간의 불통을 공감에 이르게 하는 따스한 산문들로 구성된...

[새로나온책] 김사윤 시인 첫 산문집 '시시비비(詩詩非非)' (2019-07-24)
김사윤 시인이 첫 산문집 '시시비비(詩詩非非·지식공감)-침묵하지 않는 언어의 단상'을 출간했다. 이번 산문집은독자층에 구분을 지을 필요가 없을 만큼 다양한 주제와 소재를 보여주고 있다. 누구나 한번쯤 고민했거나...

김사윤- 박경주 공저, 『다시 내릴 비』 출간 (2022-10-06)
김사윤 시인과 박경주 작가가 공동 출간한 에세이집『다시 내릴 비』가 책엔 출판사에서 출간됐다. 이 책속엔 김사윤 시인의 시에 박경주 작가의 산문이 컬레버레이션된 작품 23부작이 실려 있다. 책 속에 담긴 글들은 사랑...

김사윤 시인, 첫 산문집 '시시비비' 출간 (2019-07-28)
최근 만난 시인 김사윤(사진)에게 이 공식은 무의미했다. 자신의 가치관에 비춰 아니다 싶으면 가차 없이 '안돼'라고 하던 태도에 변화가 찾아들고 있다고 했다. "이제는 단정적으로 '안돼'라 하지 않고 '이렇게 하면 되지...

여섯 번째 시집 'ㄱ이 ㄴ에게' 출간한 김사윤 시인 (2018-10-30)
시인 김사윤이 대뜸 편치않은 이야기부터 했다. "시(詩)답잖은 시가 넘쳐난다"고. 맞춤법과 띄어쓰기는 말할 것도 없고, 시인이 가져야 할 최소한의 덕목도 갖추지 못한 사람들이 시인이라는 이름으로 살고 있다고 했다....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