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ogin
인물로 보는 우리 시대
유튜버 랭킹 | 1957년생 기업인수합병전문가

대학교수인 김준우의 대표 이미지

김준우

직업
대학교수
조회수
총 14 (오늘 1)

같은 이름 다른 인물

김준우
영화배우, 온라인 콘텐츠 창작자
김준우
아나운서
김준우
가수
김준우
변호사
김준우
변호사
김준우
연극배우
김준우
영화배우
김준우
공인회계사

동명이인 8명 더보기

저서 및 도서

EBS 강의노트 수...
한국교육방송공사(EBSi)
2024-11-30
ggplot2 데이...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4-08-14
EBSi 강의노트 ...
한국교육방송공사
2023-12-01
시각과 공감(큰글자...
한국학술정보
2023-10-31
시각과 공감 (우현...
한국학술정보
2023-05-26
인류의 미래를 위한...
생태문명연구소
2023-04-05

최근 인물 추가정보

최근 추가 정보 더보기

김준우님의 추가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악의적인 내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준우 관련 이미지


김준우 관련 뉴스


전북치대 ‘AWON Meeting 2025’ (2025-03-10)
이밖에도 권기탁 원장(전주푸른치과)이 ‘2025 개원의가 알면 도움이 되는 치과노무’를, 김준우 원장... 해외연자 초청 강연에서는 일본 Taro Arima 교수(홋카이도대학)가 ‘Facts and Truth About TMD-Links Between Clinic and...

발언하는 김준우 감리교신학대학 교수 (2010-06-21)
=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 강당에서 열린 '평화를 염원하는 기독교평화토론회와 부시초청 6.25 60년 평화기도회를 우려하는 기독인 연합 기자회견'에서 김준우 교수가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공익법률센터, 개소 5주년 기념 '아시아 임... (2024-12-21)
대학교수는 공익법교육 커리큘럼이 부재하고 공익진로 지원이 전무하다시피한 한국 로스쿨의 현실을 짚어 주었고, 법조공익모임 나우의 이수연 변호사와 서울지방변호사회 프로보노지원센터장 김준우...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공익법률센터, 개소 5주년 기념 '아시아 임상법... (2024-12-17)
대학교수는 공익법교육 커리큘럼이 부재하고 공익진로 지원이 전무하다시피한 한국 로스쿨의 현실을 짚어 주었고, 법조공익모임 나우의 이수연 변호사와 서울지방변호사회 프로보노지원센터장 김준우...

대학 중심 지역 발전론 (2020-10-21)
기호일보, KIHOILBO 김준우 인천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코로나 방역을 위한 비대면 정책이 장기화됨에 따라 나타난 변화는 국가경제 침체와 대학의 해체라고 할 수 있다. 전자는 글로벌 공급망이 닫혀 공장들이 멈춰 섰기...

[대학생 공작기계 창의 아이디어] 장려상, 증압식 유압 공급 장치 외 3선 (2018-02-05)
|장려상| 한국폴리텍대학 관상 칠러와 절삭유 2중 냉각방식을 이용한 빌트인 스핀들 카트리지 한국폴리텍대학 _ 강성기 교수,김준우, 김휘중, 이한영, 전재완 학생 멘토기업 _ 카스윈 제품 소개 빌트인 스핀들은...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발간 3종, 202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2025-01-03)
전남대는 인문대학 사학과 이성원 교수의 저서 『음악은 어떻게 통치의 기제가 되었나』,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김준우 교수ㆍ지리학과 안영진 교수의 공동저서 『이념과 공간』, 조선대 인문학연구원 한순미...

인터넷과 대학의 붕괴 (2020-03-18)
기호일보, KIHOILBO 김준우 인천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코로나19가 덮친 대학의 모습은 아마 대학이 생긴 이래 처음 겪는 풍경일 것이다. 학생이 없는 강의실도 그렇지만 오랜만에 만난 교수들 첫 인사가 "인터넷 강의...

고객과 대학 (2020-08-11)
기호일보, KIHOILBO 김준우 인천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대학의 고객은 누구인가?" 이 질문에 대부분의 학생 답변은 한결같다. 학생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다시 질문을 한다. "그렇다면 대학의 주인은 누구인가?" 그것도...

인천 발전과 대학의 역할 (2020-02-10)
기호일보, KIHOILBO 김준우 인천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최근 도시의 새로운 변화 중의 하나는 대학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대학이 지역에 주는 직접적인 경제 효과는 차치하더라도 대학의 벤처...

최신 커뮤니티 게시글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인물정보 신규등록 | 리뷰어 정책 | 인물정보 개발자 API
© 2025 people.udanax.org